한국의 그림 미술관이나 화랑(畫廊)에 가지 않아도 좋아하는 그림을 마음껏 감상할 수 있는 편리한 세상입니다.
-
빨래터, 산행, 서당 외
화가김홍도(金弘道, 檀園)빨래터 산행 서당 서화 감상 씨름Date2008.04.20 Category김홍도 Views47004 -
노상과안, 논갈이 외
화가김홍도(金弘道, 檀園)노상과안 논갈이 담배 썰기 대장간 벼 타작Date2008.04.20 Category김홍도 Views47192 -
고기잡이 외
화가김홍도(金弘道, 檀園)고기잡이 고누놀이 기와 이기 길쌈 나룻배Date2008.04.20 Category김홍도 Views46814 -
고향의 추억
화가최상건▲ 최상건_고향의 추억 ▲ 리춘식_칠보산 ▲ 리맥림_가을Date2008.02.04 Category북한그림 Views22453 -
금강산 계곡
화가김 룡▲ 김룡_금강산 계곡 ▲ 오영성_꽃가지에 돋은 가시 ▲ 강춘일_석양의 아침Date2008.02.04 Category북한그림 Views28963 -
조충도(鳥蟲圖)
화가신사임당[그림 9] 조충도(鳥蟲圖) 사임당의 초충도첩이 경은부원군 김주신(숙종의 장인)의 집에 있었다. 어느 날 숙종이 가지고 오라하여 똑같이 그리게 한 다음, 그 그림으로 병풍을 만들어 치고 원본은 시를 지어 함께 되돌려 보냈다. 풀이랑 벌레랑 실물과 똑 같구나 부인의 솜씨인데 이같이 묘하다니 하나 더 모사하여 대궐 안에 병풍을 쳤네 아깝구나, 빠진 한 폭 다...Date2008.01.27 Category사임당 Views35177 -
원추리와 개구리
화가신사임당[그림 7] 원추리와 개구리 [그림 8] 양귀비와 도마뱀Date2008.01.27 Category사임당 Views34300 -
산차조기와 사마귀
화가신사임당[그림 5] 산차조기와 사마귀 [그림 6] 수박과 들쥐Date2008.01.27 Category사임당 Views29909 -
오이와 개구리 외
화가신사임당[그림 3] 오이와 개구리 [그림 4] 맨드라미와 쇠똥벌레Date2008.01.27 Category사임당 Views29578 -
어숭이와 개구리 외
화가신사임당어숭이와 개구리 가지와 방아깨비Date2008.01.27 Category사임당 Views32427 -
청금상련(聽琴賞蓮)
화가신윤복(申潤福, 蕙園)▲ 聽琴賞蓮(일명 蓮塘野遊圖, 28.3cm x 35.2cm 간송미술관) ☞ '좌상객상만(座上客常滿),주중주불공(酒中酒不空): 앞의 '酒'자는 혜원이 잘못 쓴 것으로 '樽(준)'자가 맞을듯... 옮기면 '좌 상에는 손님이 항상 가득 차 있고, 술단지에는 술이 비지 않는다' 는 뜻이다.Date2007.10.19 Category신윤복 Views39111 -
단오도(端午圖)
화가신윤복(申潤福, 蕙園)端午圖 (일명 단오풍정, 종이에 채색, 28.2×35.2㎝, 간송미술관 소장) 신윤복(申潤福) 1758(영조 34)~? 조선 후기의 화가. 김홍도와 함께 풍속화의 쌍벽을 이루었다. 본관은 고령. 자는 입부(笠夫), 호는 혜원(蕙園). 아버지는 화원(畵員)이었던 한평(漢枰)이다. 그의 생애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지지 않았으며, 단지 도화서(圖畵署) 화원으로 벼슬이 첨절제사(僉節制...Date2007.10.19 Category신윤복 Views353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