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韓國語) 어원(語源) 자료실 국어에서 자주 사용하는 단어의 유래나 어원에 관한 전공 학자들의 글을 모은 자료입니다.
공지 | 우리말(韓國語) 어원(語源) 자료실 이용 안내 | 2011.11.27 |
-
'사나이'의 어원
필자홍윤표‘사나이’란 ‘한창 혈기가 왕성할 때의 남자를 이르는 말’이다. ‘XX도 사나이’ 등의 ‘사나이’는 ‘통이 크고 대범하고 시원시원한 젊은 남자’를 일컫는 것 같은데, ‘두 얼굴의 사나이, 육백만 불의 사나이’라고 했을 때에는 단순히 ‘젊은 남자’를 뜻하는 것으로 보인다. ‘사나이’는 단순히 ‘남자’란 뜻도 있는 것 같지만 실제로 ‘젊은 남자’란 의미가 더 강하다. ‘XX도 사나이, 두 얼굴의 사나이’ 등에서 ‘사나이’는 ‘남자 노인’이나 ‘남자 어린이’를 연상하지는 않기 때문이다...Date2008.11.19 Views15444 -
'신라(新羅)'의 어원
필자이기문1. 지난번에 고대 신라의 김대문(金大問)의 어원 연구를 논하면서 고유명사의 어원 연구가 매우 어려운 것임을 지적한 바 있습니다. 고유명사는 음상(音相)은 알고 있지만 의미를 모르기 때문이라고 했습니다. 그런데 이상한 것은, 고유명사의 어원이 큰 호기심을 끌어 왔다는 사실입니다. 밝히기 어려운 것일수록 더 매력을 느끼는 것이 인간의 심리인 듯합니다. 이 글에서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어원 연구의 대상이 된 ‘신라(新羅)’에 대해서 간략히 살펴보기로 하겠...Date2008.09.26 Views16646 -
김대문: 우리나라 최초의 어원학자
필자이기문어원만큼 사람들의 호기심을 끄는 것도 드물다. 여러 나라의 역사를 보면 먼 옛날에 어원을 논한 기록이 있음을 볼 수 있다. 우리나라도 예외가 아니었다. 오늘날 전하는 우리나라의 가장 오랜 사서(史書)인 「삼국사기」(三國史記)를 펴면 놀랍게도 그 제1권(신라본기 新羅本紀)에 어원 해석이 건성드뭇이 나타남을 볼 수 있다. 그 맨 첫 장에 시조(始祖)의 성씨 ‘박’(朴)에 대한 어원설이 있고 그 뒤의 남해 차차웅(南解次次雄), 유리 이사금(儒理尼師今)에 보이는 왕호(王號...Date2008.09.26 Views13003 -
중세몽고어 차용어에 대하여
필자이기문1. 일찍이 이수광(李睟光)은 그의 「지봉유설」(芝峯類說)에서 “우리 나라 향어(鄕語)에서 가장 이해할 수 없는 것(最不可解者)”으로 다음의 다섯 단어를 들었다(권 16). (1) 어선(御膳)을 일러 ‘수라’(水剌)라 하는 것. (2) 내관(內官)을 일러 ‘설리’(薛里)라 하는 것. (3) 신분이 낮은 사람이 높은 사람을 ‘나리’[進賜]라 부르는 것. (4) 종이 주인을 ‘상전’(上典)이라 부르는 것. (5) 노비수공자(奴婢收貢者)를 일러 ‘달화주’(達化主)라 하는 것. 이것은 ...Date2008.05.03 Views14014 -
'大統領'의 출현
필자宋敏이른바 신사유람단(紳士遊覽團)의 일원으로서, 1881년 4월 9일(양력 5월 6일) 일본선 안녕환(安寧丸)을 타고 부산의 초량(草梁)을 출발한 이헌영(李憲永)은 약 4개월 동안 일본에 머물면서 세관 관련 업무를 조사한 후, 7월 28일(양력 8월 22일) 신호(神戶)에서 떠나는 천세환(千歲丸)을 타고 윤 7월 3일(양력 8월 26일) 초량으로 다시 돌아왔다. 그의 일본 여행 보고서라고 할 수 있는 『일사집략』(日槎集略)에는 다음과 같은 기록이 남아있다. 新聞紙見米國大統領卽國王之...Date2007.11.25 Views12868 -
'미장이'의 어원
필자홍윤표‘미장이’란 건축 공사에서 벽이나 천장, 바닥 따위에 흙, 회, 시멘트 따위를 바르는 일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을 말한다. 사람을 뜻하는 말이므로 ‘미장이’는 ‘미장’과 사람을 의미하는 접미사 ‘-이’가 결합되어 만들어진 단어로 쉽게 분석할 수 있다. ‘미장’도 언뜻 보기에 한자어로부터 왔을 것 같은데, 어느 국어사전도 한자 표시를 한 것이 없는 걸 보니, 한자어로 해석하지는 않는 것 같다. 그렇다면 이 ‘미장이’란 단어는 어디에서 온 것일까? 한자어가 아니라면, ‘...Date2007.11.24 Views14999 -
'호랑이'의 어원
필자홍윤표'호랑이’의 어원에 대해서는 여러 이견이 있다. 가장 널리 알려진 것은 ‘호(虎)’에 접미사 ‘-랑이’가 붙어서 생겼다는 설인데, 한자 ‘호’(虎)에 견인된 해석이지만, ‘-랑이’라는 접미사가 없어서 믿기 어렵다. 또 다른 하나는 몽고어의 호랑이를 뜻하는 단어 'hol'[虎]에 접미사 ‘-앙이’가 붙어서 된 것이라는 설이다. 그러나 이것도 신빙성이 적다. 왜냐 하면 이미 15세기에 ‘호랑이’는 ‘호랑(虎狼)’으로 나타나기 시작하여 19세기 말까지도 그 한자가 사용되어 왔기 때...Date2007.11.24 Views31241 -
'도토리’의 어원
필자홍윤표‘도토리’는 원래 ‘떡갈나무’의 열매만을 가리키던 것이었는데, 이제는 상수리나무에 열리는 ‘상수리’까지도 ‘도토리’라고 불러서, 시골 사람들은 ‘상수리’와 ‘도토리’를 구분하지만, 도시 사람들은 그 차이를 구별하지 못할 정도가 되었다. ‘도토리’는 언뜻 보아 그 깍정이가 도톨도톨해서 ‘도톨도톨’의 ‘도톨’에 명사형 접미사 ‘-이’가 붙어 만들어진 것으로 보는 사람이 꽤나 많은 듯하다. 그러나 사실상 도토리는 나무에 달려 있을 때 도토리의 밑을 싸받치는 도토리 깍...Date2007.11.13 Views20723 -
승기약탕(勝妓藥湯)
필자이기문1. 한국어를 기록한 문헌의 역사가 짧고 한국어와 기원을 같이한 친족 언어들 또한 적어서 그 어원 연구가 극히 제한된 범위에서 이루어져 왔음을 지난번에 지적한 바 있다. 그리하여 종래의 한국어 어원 연구에서 연구 대상이 된 것이 복합어·파생어와 차용어에 국한되다시피 했음을 말하였다. 특히 국내 학자들의 연구에 이런 경향이 강했던 것이다. 지난번에는 ‘불고기’에 대하여 짧게 논하였다. 언젠가 한번은 써야겠다는 생각을 품어 왔었는데, 이런 비근한 예도 어...Date2007.11.13 Views13676 -
'부랴부랴'의 어원
필자홍윤표부랴부랴’는 일을 매우 급히 서두르는 모양을 나타내는 말이다. ‘부랴부랴 떠났다, 부랴부랴 달려갔다’ 등에서 알 수 있듯이, 뒤에 나오는 동사인 ‘떠나다, 달려가다’의 행동을 급히 서둘러서 하는 모양을 표현할 때 쓰인다. 그래서 ‘부랴부랴’ 뒤에는 형용사가 오지 않는다. 동사만을 한정시키는 부사이기 때문이다. ‘부랴부랴’는 비교적 후대에 발달한 어휘다. 20세기 초의 문헌에 처음으로 등장한다. 처음 문헌에 등장할 때의 형태는 ‘부랴부랴’가 아니라 ‘불야불야’이었...Date2007.11.12 Views15435 -
'불고기' 이야기
필자이기문첫머리에 어원 연구는 길면 2천 년, 짧아도 천 년 동안의 옛말을 기록한 문헌들이 있고 가까운 친족 관계, 먼 친족 관계에 있는 언어들이 여럿 있는 경우에 제법 풍족한 성과를 거둘 수 있다. 인도·유럽 어족의 언어들에 대한 어원 연구가 이런 경우라고 할 수 있다. 영어의 어원사전을 들추어 보면 그 풍부한 내용이 부럽기 짝이 없다. 한국어의 경우와는 너무나 대조적이기 때문이다. 한국어의 경우는 위에 든 조건을 어느 하나도 갖추지 못하였으니 어원 연구란 말을 꺼내...Date2007.11.11 Views12855 -
'흐지부지'는 본래 한자어
필자강창석"처음에는 엄청난 일을 벌일 듯 요란했으나 결국 흐지부지 되고 말았다" 할 때의 '흐지부지'란 단어는 한자로 적지 않으므로 얼핏 고유어처럼 보이지만, 본래는 한자어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크다. 이 단어가 가장 먼저 발견되는 문헌은 사전이다. 조선어학회에서 간행한 『큰사전』(1957년)에 올림말 '흐지부지'에 '끝을 마무르지 못하고 흐리멍덩하게 넘기어 버리는 꼴'이란 풀이가 있는데, 그 풀이 뒤에 괄호를 열고 '시지부지'와 '히지부지'를 첨가해 보이고 있다. 그러...Date2007.11.11 Views15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