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1. 우리말 어원 자료실의 글은 대부분 어원을 연구하는 학자들이 이미 지면으로
발표한 글을 모은 것입니다. 필자와 출처를 밝혀 놓았습니다.
2. 이 게시판의 글은 회원가입을 하지 않아도 누구나 읽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글을 작성하나 댓글을 쓰는 것은 스팸글때문에 정회원만 허용하고 있습니다.
어원 관련 자료를 올리실 때는 필자와 출처 등을 꼭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3. 어원 관련 글에서는 현대에는 사용하지 않는 옛글자들이 많이 등장합니다.
한글 옛글자가 사용된 글을 제대로 보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컴퓨터에
'한컴돔움'이나 '네이버사전체' 등의 글꼴(폰트)이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참고글 : 한글 옛글자가 보이지 않을 때
4. 본문의 글자 크기가 너무 작아서 읽기 어려울 때는 본문 제목 위에 보이는
네비게이션바에서 '+버튼'을 클릭하면 글자가 커집니다.
이 기능은 게시판 스킨(sketchbook5)에서 제공하는 기능입니다.
5. 자료에 보이는 오류를 지적하거나 의견을 주실 분은 해당 게시글에
댓글로 적어주시기 바랍니다.
-
2011. 12. 8 [고사성어] 게시판의 자료(고사성어, 생활한자)를 [어원자료실]로 옮기고 분류(카테고리)를 설정하였습니다.
국어(韓國語) 어원(語源) 자료실 국어에서 자주 사용하는 단어의 유래나 어원에 관한 전공 학자들의 글을 모은 자료입니다.
공지 | 우리말(韓國語) 어원(語源) 자료실 이용 안내 | 2011.11.27 |
-
귀거래사(歸去來辭)
필자歸去來辭: 고향에 돌아가는 것을 노래한 글 歸(돌아갈 귀) 去(갈 거) 來(올 래) 辭(글 사) (관직 등을 버리고) 고향에 돌아가는 것을 노래한 글」. 진(晋)나라 시인 도잠이 지은 글에서 비롯됐다. 진서(晋書) 도잠전에 나온다. 도잠은 뼈대있는 집안 출신이었지만 경제적 여유는 그다지 없는 소지주 가정에서 태어났다. 29세에 벼슬길에 올라 진군참군·건위참군 등 관직에 몸을 담았다. 도잠은 41세 때 누이의 죽음을 구실 삼아 팽택현(彭澤縣) 현령에서 물러난 뒤 낙향했다...Date2006.10.21 Views142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