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1. 우리말 어원 자료실의 글은 대부분 어원을 연구하는 학자들이 이미 지면으로
발표한 글을 모은 것입니다. 필자와 출처를 밝혀 놓았습니다.
2. 이 게시판의 글은 회원가입을 하지 않아도 누구나 읽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글을 작성하나 댓글을 쓰는 것은 스팸글때문에 정회원만 허용하고 있습니다.
어원 관련 자료를 올리실 때는 필자와 출처 등을 꼭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3. 어원 관련 글에서는 현대에는 사용하지 않는 옛글자들이 많이 등장합니다.
한글 옛글자가 사용된 글을 제대로 보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컴퓨터에
'한컴돔움'이나 '네이버사전체' 등의 글꼴(폰트)이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참고글 : 한글 옛글자가 보이지 않을 때
4. 본문의 글자 크기가 너무 작아서 읽기 어려울 때는 본문 제목 위에 보이는
네비게이션바에서 '+버튼'을 클릭하면 글자가 커집니다.
이 기능은 게시판 스킨(sketchbook5)에서 제공하는 기능입니다.
5. 자료에 보이는 오류를 지적하거나 의견을 주실 분은 해당 게시글에
댓글로 적어주시기 바랍니다.
-
2011. 12. 8 [고사성어] 게시판의 자료(고사성어, 생활한자)를 [어원자료실]로 옮기고 분류(카테고리)를 설정하였습니다.
국어(韓國語) 어원(語源) 자료실 국어에서 자주 사용하는 단어의 유래나 어원에 관한 전공 학자들의 글을 모은 자료입니다.
공지 | 우리말(韓國語) 어원(語源) 자료실 이용 안내 | 2011.11.27 |
-
'구두쇠'의 어원
필자홍윤표(洪允杓)'돈이나 재물 따위를 쓰는 데에 몹시 인색한 사람'을 일컫는 말이 여럿 있다. '구두쇠, 수전노, 자린고비' 이외에 최근에는 '노랭이, 짠돌이, 굳짜, 가죽고리' 등의 별명 및 은어가 있다. 수전노는 한자 '수전노'(守錢奴)에서 온 한자어다. 직역하면 '돈을 지키는 노예'라는 뜻이다. '자린고비'도 언뜻 보아 고유어인 것 같지만, '자린'(玼吝), 즉 '좋지 못한 마음이나 인색한 것'에 '주머니'를 뜻하는 방언형인 '고비'가 붙어서 생긴 단어로 해석된다. 그러나 이들은 조...Date2011.11.18 Views13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