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스마트시대, 한글 입력도 스마트하게 '꽃잎한글'개발
원문 출처 | http://www.daejonilbo.com/news/newsitem.asp?pk_no=973205 |
---|
“스마트시대, 한글 입력도 스마트하게” 부산경무수씨, 입력프로그램 ‘꽃잎한글’ 개발화제
부산의 한 직장인이 기존 휴대전화 등에서 사용되고 있는 한글 입력 시스템보다 쉽고 간편한 입력 프로그램을 개발해 주목을 받고 있다. 한글의 과학적인 제자원리가 다른 언어와는 비교할 수 없이 간단한 입력 시스템 개발로 이어지고 있는 셈이다.
새 한글 입력 프로그램을 개발한 화제의 인물은 부산의 한 선박엔진설계 업체에 다니고 있는 직장인 경무수(49) 씨. 경 씨는 지난해 9월 중순부터 한글 입력 프로그램 ‘꽃잎한글’을 개발하기 시작해 거의 완성단계를 바라보고 있다. 현재 꽃잎한글은 특허가 출원된 상태며 이미 꽃잎한글 앱이 구글 안드로이드 마켓에서 3천 건 이상 다운로드되는 등 그 편리함이 입증되고 있다.
꽃잎한글 프로그램의 핵심은 9개의 버튼 터치와 드래그를 이용해 자음 19개(단자음 14개, 쌍자음 5개)와 모음 21개(단모음 10개, 겹모음 11개)를 만들어내는 것. 9개의 버튼은 ‘ㄱ(ㅋ), ㄴ(ㄹ), ㄷ(ㅌ), ㅁ, ㅂ(ㅍ), ㅅ(ㅊ), ㅇ(ㅎ), ㅈ’의 기본 자음과 ‘·’으로 구성돼 있는데 ㄹ, ㅊ, ㅋ, ㅌ, ㅍ, ㅎ을 입력하고 싶을 경우 미리 ‘·’을 누른 뒤 기본 자음 버튼을 누르면 된다. 쌍자음은 버튼을 길게 누르는 방식이다.
모음 입력 방식은 더욱 독특하다. 기존 입력 시스템에서 모음을 입력하려면 모음 버튼을 눌러야 하지만 꽃잎한글에는 드래그 방식이 도입돼 모음 버튼이 필요 없다. 모음 ‘ㅏ, ㅓ, ㅗ, ㅜ, ㅡ, ㅣ’를 입력한다면 화면상에서 ‘우, 좌, 상, 하, 좌하 또는 우하, 좌상 또는 우상’으로 드래그하면 되고 ‘ㅑ, ㅕ, ㅛ, ㅠ, ㅢ’의 경우 각각 ㅏ, ㅓ, ㅗ, ㅜ, ㅡ와 같은 방향으로 왕복 드래그한다. 겹모음 입력시 ‘ㅣ’를 추가하려면 다시 아래로 드래그하면 된다. 예를 들어 ‘ㅒ’를 입력하고 싶다면 오른쪽으로 왕복 드래그해 ‘ㅑ’를 만든 뒤 아래로 드래그 하면 ‘ㅒ’가 나타난다.
이와 같이 독창적인 입력방식을 가진 꽃잎한글은 기존 입력방식 보다 적은 버튼으로 쉽고 간편하게 한글을 입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엄지손가락 하나만 사용해도 입력 속도가 빠르고 앞 글자의 받침과 다음에 오는 첫 글자가 같을 경우 커서를 이동해야만 하는 불편함도 개선했다.
경 씨는 “애플의 아이폰에도 꽃잎한글이 사용될 수 있도록 아이폰용 앱도 제작할 예정”이라며 “꽃잎한글은 휴대전화뿐만 아니라 내비게이션, 태블릿PC 등 한글 입력이 필요한 모든 디지털 장비에 응용될 수 있다”고 말했다.
경 씨가 개발한 꽃잎한글과 같이 나날이 개선된 형태의 한글 입력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있는 배경에는 한글의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제자원리가 있다. 기본 자음에다 획을 더하고 ‘·, ㅡ, ㅣ’(천지인)을 결합해 다양한 자음과 모음을 만들어내는 원리는 한국이 IT 강국으로 발전할 수 있었던 밑거름이 됐다고 한글 학자들은 입을 모은다.
한글학회 하치근(동아대 명예교수) 이사는 “과학적인 한글 덕분에 우리 IT 산업이 크게 발전할 수 있었다”며 “다가오는 한글날 한글을 가진 게 우리 민족의 큰 축복임을 다시 한 번 깨달을 수 있는 계기가 돼야 한다”고 역설했다.
황석하 기자 hsh03@busan.com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Who's 오병우(吳炳禹)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공지 |
자유 게시판 이용 안내
[4] ![]() |
![]() | 2006.11.26 | 44766 |
18 |
'Indonesian gov’t didn’t approve Hangeul as official writing system'
![]() ![]() |
![]() | 2010.10.09 | 18051 |
17 |
‘워크맨’ 사라졌지만…재발견되는 아날로그
![]() ![]() |
![]() | 2010.11.30 | 18779 |
16 |
인터넷이 지난 10년간 우리에게서 앗아간 것
[1] ![]() ![]() |
![]() | 2010.12.10 | 18428 |
15 |
군대가 추억이 되는 까닭
![]() ![]() |
![]() | 2011.01.14 | 18788 |
14 | 알바생은 열정은 불타지만 프로페셔널함은 죽었다. | ![]() | 2011.01.25 | 18507 |
13 |
여자들의 본능적 질투 : Women's instinctive jealousy
![]() ![]() |
![]() | 2011.07.05 | 17755 |
» |
스마트시대, 한글 입력도 스마트하게 '꽃잎한글'개발
![]() ![]() |
![]() | 2011.10.12 | 16237 |
11 | 한국인이 많이 헷갈려 하는 맞춤법 10위부터 1위까지 [1] | ![]() | 2011.11.24 | 15455 |
10 |
나이 들어 대접받는 7가지 비결
![]() ![]() |
![]() | 2011.12.16 | 15425 |
9 |
[만물상] 인터넷 문자옥(文字獄)
![]() ![]() |
![]() | 2011.12.29 | 15223 |
8 |
코닥의 비극
![]() ![]() |
![]() | 2012.01.09 | 14601 |
7 |
‘남편 누나의 남편’은 뭐라고 부르지?
[4] ![]() ![]() |
![]() | 2012.03.14 | 14061 |
6 |
한글, 3000년 전부터 사용됐다(?)
[1] ![]() ![]() |
![]() | 2012.07.02 | 12998 |
5 | 국어학개론 SkyDrive 강의노트에서.. [4] | ![]() | 2012.09.04 | 12051 |
4 | 찌아찌아족 한글 수출은 국내 언론의 거짓말이다. [3] | ![]() | 2012.10.19 | 12870 |
3 |
한글날, 22년 만에 공휴일로 재지정
![]() ![]() |
![]() | 2012.11.07 | 11699 |
2 | 세계 언어 사용자 순위 (2007) [1] | ![]() | 2013.10.21 | 10708 |
1 | 상형문자 시대의 재림 … 이모지 매일 60억건 넘게 써 | ![]() | 2015.11.28 | 6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