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1. 주 교재
李基文(1998), 新訂版 國語史槪說, 태학사 (표지: 오른쪽 그림)
(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의 『국어사개설 』소개)
2. 참고문헌
2.1. 총류/개설서
김형규(1972), 국어사 연구, 일조각.
김동소(1998), 한국어 변천사, 형설출판사.
_______(2007), 한국어의 역사, 정림사.
최범훈(1986), 한국어 발달사,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1967), 한국문화사대계Ⅴ-1(언어.문학사)
서울대 국어연구회(1983),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구, 문학과지성사.
2.2. 국어 계통론 분야
이기문(1981), 한국어 형성사, 삼성문화문고 160.
이기문 편(1983), 국어학논문선 10 (비교 연구), 민중서관.
김승곤 편(1977), 한국어의 기원, 건국대 출판부.
김방한(1983), 한국어의 계통, 민음사.
2.3. 분야별 국어사 연구 논저
이기문(1972), 국어음운사 연구, 탑출판사.
허 웅(1965), 국어음운학, 정음사.
김완진(1971), 국어 음운체계의 연구, 일조각.
강복수(1972), 국어문법사 연구, 형설출판사.
이승욱(1973), 국어 문법체계의 사적 연구, 일조각.
이숭녕(1981), 중세국어문법(개정판), 을유문화사.
이기문(1991), 국어 어휘사 연구, 동아출판사.
유창돈(1971), 어휘사 연구, 선명문화사.
2.4. 시대별 국어사 연구 논저
김동소(2002), 중세한국어 개설, 한국문화사.
양주동(1965), 增訂 古歌 硏究, 일조각,
지헌영(1947), 향가여요신석, 정음사.
서재극(1974), 신라 향가의 어휘 연구,
김완진(1980), 향가해독법 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부.
국어연구원(1998), 국어의 시대별 변천 연구 3 -고대국어-.
국어연구원(1996), 국어의 시대별 변천·실태 연구 1 -중세국어 -
국어연구원(1997), 국어의 시대별 변천 연구 2 -근대 국어-
국어연구원(1999), 국어의 시대별 변천 연구 4 -개화기 국어-
3. 관련 사이트
국어사학회 http://www.gugeosa.or.kr/
국립국어원 http://www.korean.go.kr/
디지털한글박물관 http://www.hangeulmuseum.org/
국립한글박물관 http://www.hangeul.go.kr/
* 계속 추가, 보충할 예정임.
번호 | 분류 | 제목 | 글쓴이 | 최근 수정일 | 날짜 | 조회 수 |
---|---|---|---|---|---|---|
공지 | 알림 | 2021년 1학기 [국어사] 중간고사 안내 | ![]() | 2021.04.17 | 2021.04.17 | 88 |
공지 | 알림 | 2021년 1학기 [국어사] 줌(Zoom) 강의 안내 | ![]() | 2021.02.26 | 2021.02.23 | 1974 |
공지 | 기타 |
2021년 1학기 [國語史] 강의노트 이용 안내
![]() |
![]() | 2021.02.25 | 2008.03.03 | 220960 |
공지 | 기타 | 2021년 1학기 國語史 강의계획표 | ![]() | 2021.03.01 | 2007.03.02 | 210848 |
» | 기타 |
국어사 강의 교재 및 참고문헌
![]() |
![]() | 2021.02.25 | 2007.03.02 | 215625 |
4 | 참고 | 백제어에 관한 참고자료 | ![]() | 2011.12.28 | 2008.04.03 | 43684 |
3 | 참고 | 한국어 계통 연구의 개척자 람스테드(Gustaf John Ramstedt) [3] | ![]() | 2010.03.29 | 2007.03.28 | 40120 |
2 | 참고 |
세계의 주요 語族
![]() ![]() |
![]() | 2008.03.18 | 2007.03.22 | 36005 |
1 | 참고 | 현대 한국의 명저(名著) 100권 [1945∼1984] [2] | ![]() | 2011.03.17 | 2007.03.07 | 416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