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제 5장 고대국어
고대국어는 신라어. 삼국시대에는 고구려어, 백제어도 있었지만 나라가 망한 뒤에 신라어에 흡수되거나 소멸됨
1. 자료
ㄱ. 史書의 고유명사 표기
- 삼국사기나 삼국유사는 한문 서적이지만 거기에 등장하는 人名이나 地名 등의 고유명사는 차자표기 방식으로 기록된 것이 있음.
- 삼국사기나 삼국유사에는 당시 단어의 語源을 적어놓은 내용도 있지만, 전적으로 신뢰할 만한 것은 되지 못한다.
ㄴ. 吏讀 자료
ㄷ. 鄕歌 25수:
삼국유사 14수, 균여전에 11수가 현전함.
ㄹ. 중국 史書의 단편적인 기록
ㅁ. 고대 일본어에 들어간 차용어
ㅂ. 우리나라의 전통 한자음
우리나라의 한자음은 통일신라 시대 즉 고대국어 시기에 형성되었을 것으로 추정. 그러므로 한국 한자음에는 고대국어 당시의 국어 음운체계가 반영되어 있다.
2. 표기법
* 표기법 연구의 과제
ㄱ. 音讀자와 釋讀자의 구분
ㄴ. 음독자의 경우 당시 음가 재구
ㄷ. 석독자의 경우 당시 새김 파악
예) 향가 해독
3. 음운 체계
- 중세국어와 알타이어와의 비교를 염두에 두고 음운 체계의 특징을 파악
- 변화가 있었거나 있었다고 추정되는 내용에 초점이 두어짐
1) 자음체계
ㄱ. 평음/유기음/경음의 대립 여부
현대 다른 언어에 잘 나타나지 않는 대립체계이고, 다른 알타이어에서도 보이지 않는 국어의 독특한 현상.
- 고대국어에 유기음은 있었지만, 수가 적었다.
- 고대국어에 경음은 존재하지 않았다: 경음으로 시작하는 한자음이 없다.
ㄴ. 유성마찰음(중세국어의 ㅸ이나 ㅿ) 계열의 존재 여부: 분명하지 않다.
ㄷ. 음절말 자음: 내파화(미파화)가 고대국어에는 없었던 것으로 추정
2) 모음체계
4. 한자음
5. 문법
향찰과 이두 자료를 통해 조사와 어미에 대한 단편적인 확인 가능
1) 조사
2) 어미
3) 대명사
4) 경어법: 중세국어와 동일했을 가능성(존경법과 겸양법은 분명하게 확인하고 공손법은 분명치 않음)
6. 어휘
1) 수사는 중세국어와 일치
2) 한자어의 등장 및 인명, 지명 등의 한자화
한자어는 일반적인 차용어와 다르다. 즉 일반적인 차용어는 구어가 들어오는 것이지만 한자어의 경우는 문어가 구어로 바뀐 것임.
3) 중국어의 직접 차용: 붓, 먹, 자 등
고대국어는 신라어. 삼국시대에는 고구려어, 백제어도 있었지만 나라가 망한 뒤에 신라어에 흡수되거나 소멸됨
1. 자료
ㄱ. 史書의 고유명사 표기
- 삼국사기나 삼국유사는 한문 서적이지만 거기에 등장하는 人名이나 地名 등의 고유명사는 차자표기 방식으로 기록된 것이 있음.
- 삼국사기나 삼국유사에는 당시 단어의 語源을 적어놓은 내용도 있지만, 전적으로 신뢰할 만한 것은 되지 못한다.
ㄴ. 吏讀 자료
ㄷ. 鄕歌 25수:
삼국유사 14수, 균여전에 11수가 현전함.
ㄹ. 중국 史書의 단편적인 기록
ㅁ. 고대 일본어에 들어간 차용어
ㅂ. 우리나라의 전통 한자음
우리나라의 한자음은 통일신라 시대 즉 고대국어 시기에 형성되었을 것으로 추정. 그러므로 한국 한자음에는 고대국어 당시의 국어 음운체계가 반영되어 있다.
2. 표기법
* 표기법 연구의 과제
ㄱ. 音讀자와 釋讀자의 구분
ㄴ. 음독자의 경우 당시 음가 재구
ㄷ. 석독자의 경우 당시 새김 파악
예) 향가 해독
3. 음운 체계
- 중세국어와 알타이어와의 비교를 염두에 두고 음운 체계의 특징을 파악
- 변화가 있었거나 있었다고 추정되는 내용에 초점이 두어짐
1) 자음체계
ㄱ. 평음/유기음/경음의 대립 여부
현대 다른 언어에 잘 나타나지 않는 대립체계이고, 다른 알타이어에서도 보이지 않는 국어의 독특한 현상.
- 고대국어에 유기음은 있었지만, 수가 적었다.
- 고대국어에 경음은 존재하지 않았다: 경음으로 시작하는 한자음이 없다.
ㄴ. 유성마찰음(중세국어의 ㅸ이나 ㅿ) 계열의 존재 여부: 분명하지 않다.
ㄷ. 음절말 자음: 내파화(미파화)가 고대국어에는 없었던 것으로 추정
2) 모음체계
4. 한자음
5. 문법
향찰과 이두 자료를 통해 조사와 어미에 대한 단편적인 확인 가능
1) 조사
2) 어미
3) 대명사
4) 경어법: 중세국어와 동일했을 가능성(존경법과 겸양법은 분명하게 확인하고 공손법은 분명치 않음)
6. 어휘
1) 수사는 중세국어와 일치
2) 한자어의 등장 및 인명, 지명 등의 한자화
한자어는 일반적인 차용어와 다르다. 즉 일반적인 차용어는 구어가 들어오는 것이지만 한자어의 경우는 문어가 구어로 바뀐 것임.
3) 중국어의 직접 차용: 붓, 먹, 자 등
●?Who's 강창석

번호 | 분류 | 제목 | 글쓴이 | 최근 수정일 | 날짜 | 조회 수 |
---|---|---|---|---|---|---|
공지 | 알림 |
2021년 1학기 [국어사] 줌(Zoom) 강의 안내
![]() |
강창석 | 2021.02.26 | 2021.02.23 | 38 |
공지 | 기타 |
2021년 1학기 [國語史] 강의노트 이용 안내
![]() |
강창석 | 2021.02.25 | 2008.03.03 | 213568 |
공지 | 기타 | 2021년 1학기 國語史 강의계획표 | 강창석 | 2021.02.16 | 2007.03.02 | 203857 |
공지 | 기타 |
국어사 강의 교재 및 참고문헌
![]() |
강창석 | 2021.02.25 | 2007.03.02 | 208661 |
75 | 기타 | 자기소개서 경영학부 2002001193 최진우 | 최진우 | 2012.03.04 | 2007.03.07 | 37161 |
74 | 강의 | 3월 7일 강의 내용 요약 [1] | 강창석 | 2008.02.27 | 2007.03.07 | 37928 |
73 | 참고 | 현대 한국의 명저(名著) 100권 [1945∼1984] [2] | 강창석 | 2011.03.17 | 2007.03.07 | 40293 |
72 | 알림 | 국어사 게시판 이용 안내 | 강창석 | 2008.02.27 | 2006.10.10 | 41393 |
71 | 강의 | 3월 9일 국어사 강의 내용 | 강창석 | 2008.02.27 | 2007.03.09 | 37086 |
70 | 강의 | 3월 14일 국어사 강의 내용 | 강창석 | 2008.02.27 | 2007.03.15 | 37668 |
69 | 강의 | 3월 16일 국어사 강의 내용 | 강창석 | 2008.02.27 | 2007.03.17 | 37798 |
68 | 강의 | 3월 21일 국어사 강의 내용 [2] | 강창석 | 2008.02.27 | 2007.03.22 | 38524 |
67 | 참고 |
세계의 주요 語族
![]() ![]() |
강창석 | 2008.03.18 | 2007.03.22 | 34659 |
66 | 참고 | 한국어 계통 연구의 개척자 람스테드(Gustaf John Ramstedt) [3] | 강창석 | 2010.03.29 | 2007.03.28 | 38726 |
65 | 강의 | 3월 28일 국어사 강의 내용 | 강창석 | 2008.02.27 | 2007.03.28 | 37745 |
64 | 알림 | 국어사 1차 과제물 공고 및 작성 안내 | 강창석 | 2008.02.27 | 2007.03.30 | 43199 |
63 | 알림 | 국어사 2차 과제물 공고 및 작성 안내 [2] | 강창석 | 2008.02.27 | 2007.03.30 | 47326 |
62 | 강의 | 4월 11일 국어사 강의 내용 | 강창석 | 2008.02.27 | 2007.04.12 | 43681 |
» | 강의 | 4월 20, 25일 국어사 강의 내용 | 강창석 | 2008.02.27 | 2007.04.25 | 46103 |
60 | 강의 | 5월 2일 국어사 강의 내용 | 강창석 | 2010.03.29 | 2007.05.02 | 47335 |
59 | 알림 | 국어사 중간고사 안내 | 강창석 | 2008.02.27 | 2007.04.18 | 44417 |
58 | 강의 | 5월 4일 국어사 강의 내용 | 강창석 | 2008.02.27 | 2007.05.04 | 42791 |
57 | 강의 | 5월 9일, 11일 강의 내용 | 강창석 | 2008.02.27 | 2007.05.18 | 46648 |
56 | 알림 | 교육실습생의 출석과 기말고사 [9] | 강창석 | 2010.03.29 | 2007.05.02 | 5103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