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국어사의 서술 방법과 시대 구분
1. 국어사의 서술 방법
ㄱ. 분야를 먼저 나누어서 시대순으로 서술하거나
(예: 1장 음운사 2장 문법사 3장 어휘사...)
ㄴ. 시대구분을 먼저 한 후에 분야별로 서술
(예: 1장 고대국어 2장 중세국어 3장 ....)
* 역대 史書 편찬 방법: 기전체(항목별로, 삼국사기)와 편년체(연대순으로, 조선실록)
2. 국어사의 시대 구분
1) 시대구분의 기준(근거)
ㄱ. 왕조 교체 등의 정치적 변화가 아니라 언어 자체의 변화를 기준으로 시대구분을 하는 것이 일반적
- 언어 변화 중에서 어떤 변화를 더 중시할 것이냐가 문제
_ 현재의 시대구분이 음운변화 위주라는 비판도 있음.
ㄴ. 자료 중심의 시대 구분이 더 현실적인 방법이 돌 수도 있음.
ㄷ. 어떤 기준을 적용하더라도 실제로 결론이 크게 달라지지는 않는다.
- 전쟁이나 수도 이전 등 정치 사회적으로 큰 사건이 있을 때 언어변화도 심하게 일어난다.
ㄹ. 학자들 사이에 몇 가지 다른 시대구분론이 나와 있다.
2) 시대 구분의 실제
* 현재까지는 이기문 교수의 시대구분(교재의 내용)이 가장 널리 통용되고 있음.
ㄱ. 고대국어: 신라어, 9세기까지의 국어
ㄴ. 중세국어: 고려가 건국된 10세기부터. 전기와 후기로 다시 나눔.
전기중세국어: 10세기~14세기
후기중세국어: 15세기~16세기
ㄷ. 근대국어: 17세기~19세기
ㄹ. 현대국어: 20세기 이후
* 10세기, 15세기, 17세기가 시대구분의 기점이 되는 이유를 정확하게 숙지할 것.
●?Who's 강창석

-
2021년 1학기 [국어사] 중간고사 안내
-
2021년 1학기 [국어사] 줌(Zoom) 강의 안내
-
2021년 1학기 [國語史] 강의노트 이용 안내
-
2021년 1학기 國語史 강의계획표
-
국어사 강의 교재 및 참고문헌
-
5월 9일, 11일 강의 내용
-
5월 4일 국어사 강의 내용
-
5월 2일 국어사 강의 내용
-
4월 20, 25일 국어사 강의 내용
-
4월 11일 국어사 강의 내용
-
3월 28일 국어사 강의 내용
-
3월 21일 국어사 강의 내용
-
3월 16일 국어사 강의 내용
-
3월 14일 국어사 강의 내용
-
3월 9일 국어사 강의 내용
-
3월 7일 강의 내용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