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제 3장 국어의 形成
1. 古朝鮮
- 언어자료가 전혀 남아있지 않다.
- 단군(檀君), 아사달(阿斯達), 왕검(王儉), 조선(朝鮮) 등의 인명, 지명, 국명은 후대(고려시대)의 기록에 나오는 것.
* 현재로서는 몇 가지 추정을 해볼 수 있는 정도
아사달의 ‘阿斯’/ 현대국어 ‘아침’ / 일본어 asa(朝)
아사달의 ‘達’/ 고구려어의 ‘달’(山) 등
2. 부여계와 한계
- 부족국가 시대의 언어 상태에 관해서는 중국의 史書에 몇 가지 언급이 전함.
* 중국 사서의 기록 내용은 교재와 홈페이지 참조.
- 부여, 고구려, 옥저, 동예는 언어가 서로 비슷했던 것으로 추정 -> 부여계 어군
- 마한, 진한, 변한의 경우에는 기록이 서로 다름 -> 한계 어군
* 부여계 언어와 한계 언어 사이의 異同 : 아무런 기록이 없음. 후대의 언어자료를 통해 추정할 수밖에 없다.
- 부여계 제어는 고구려어로 이어지고, 한계 제어는 백제어와 신라어로 이어짐.
3. 고구려어
1) 주요 자료: 삼국사기 지리지에 나오는 지명
2) 표기: 음독표기(音讀)와 석독표기(釋讀)가 함께 나오는 자료를 이용하여 고구려어 단어를 찾아냄.
예) 買忽(음독표기) / 水城(석독표기)
3) 고구려어의 예: 교재와 홈페이지 자료 참조.
4) 고구려어와 일본어의 일치
고구려어 수사는 4개가 확인되는데, 이 4개의 수사는 중세국어와는 일치하지 않으며 고대일본어와 일치한다.
* 고구려어 수사
3(密 ) 5(于次 ) 7(難隱) 10(德)
4. 백제어
1)지배층의 언어와 피지배층의 언어가 달랐을 가능성이 있다: 지배층의 언어는 부여계 언어이고 피지배층의 언어는 한계 언어로서 상층이 존재했을 가능성.
* 왕과 왕비에 대한 호칭이 서로 달랐다는 기록이 중국 사서에 나옴(교재와 홈페이지 참조)
2) 백제어의 예: 확인할 수 있는 예가 고구려어보다 적다. 구체적인 예는 교재 참조.
3. 신라어
1) 서라벌 지역의 언어가 점차 세력을 넓히면서 결국 한반도 전체의 언어 통일을 이룸 -> 현대국어의 뿌리는 결국 신라어.
1. 古朝鮮
- 언어자료가 전혀 남아있지 않다.
- 단군(檀君), 아사달(阿斯達), 왕검(王儉), 조선(朝鮮) 등의 인명, 지명, 국명은 후대(고려시대)의 기록에 나오는 것.
* 현재로서는 몇 가지 추정을 해볼 수 있는 정도
아사달의 ‘阿斯’/ 현대국어 ‘아침’ / 일본어 asa(朝)
아사달의 ‘達’/ 고구려어의 ‘달’(山) 등
2. 부여계와 한계
- 부족국가 시대의 언어 상태에 관해서는 중국의 史書에 몇 가지 언급이 전함.
* 중국 사서의 기록 내용은 교재와 홈페이지 참조.
- 부여, 고구려, 옥저, 동예는 언어가 서로 비슷했던 것으로 추정 -> 부여계 어군
- 마한, 진한, 변한의 경우에는 기록이 서로 다름 -> 한계 어군
* 부여계 언어와 한계 언어 사이의 異同 : 아무런 기록이 없음. 후대의 언어자료를 통해 추정할 수밖에 없다.
- 부여계 제어는 고구려어로 이어지고, 한계 제어는 백제어와 신라어로 이어짐.
3. 고구려어
1) 주요 자료: 삼국사기 지리지에 나오는 지명
2) 표기: 음독표기(音讀)와 석독표기(釋讀)가 함께 나오는 자료를 이용하여 고구려어 단어를 찾아냄.
예) 買忽(음독표기) / 水城(석독표기)
3) 고구려어의 예: 교재와 홈페이지 자료 참조.
4) 고구려어와 일본어의 일치
고구려어 수사는 4개가 확인되는데, 이 4개의 수사는 중세국어와는 일치하지 않으며 고대일본어와 일치한다.
* 고구려어 수사
3(密 ) 5(于次 ) 7(難隱) 10(德)
4. 백제어
1)지배층의 언어와 피지배층의 언어가 달랐을 가능성이 있다: 지배층의 언어는 부여계 언어이고 피지배층의 언어는 한계 언어로서 상층이 존재했을 가능성.
* 왕과 왕비에 대한 호칭이 서로 달랐다는 기록이 중국 사서에 나옴(교재와 홈페이지 참조)
2) 백제어의 예: 확인할 수 있는 예가 고구려어보다 적다. 구체적인 예는 교재 참조.
3. 신라어
1) 서라벌 지역의 언어가 점차 세력을 넓히면서 결국 한반도 전체의 언어 통일을 이룸 -> 현대국어의 뿌리는 결국 신라어.
●?Who's 강창석

-
No ImageNOTICE
2021년 1학기 [국어사] 줌(Zoom) 강의 안내
Date2021.02.23 Category알림 By강창석 Views31 -
NOTICE
2021년 1학기 [國語史] 강의노트 이용 안내
Date2008.03.03 Category기타 By강창석 Views213545 -
No ImageNOTICE
2021년 1학기 國語史 강의계획표
Date2007.03.02 Category기타 By강창석 Views203824 -
NOTICE
국어사 강의 교재 및 참고문헌
Date2007.03.02 Category기타 By강창석 Views208627 -
No Image
5월 9일, 11일 강의 내용
Date2007.05.18 Category강의 By강창석 Views46636 -
No Image
5월 4일 국어사 강의 내용
Date2007.05.04 Category강의 By강창석 Views42782 -
No Image
5월 2일 국어사 강의 내용
Date2007.05.02 Category강의 By강창석 Views47331 -
No Image
4월 20, 25일 국어사 강의 내용
Date2007.04.25 Category강의 By강창석 Views46095 -
No Image
4월 11일 국어사 강의 내용
Date2007.04.12 Category강의 By강창석 Views43677 -
No Image
3월 28일 국어사 강의 내용
Date2007.03.28 Category강의 By강창석 Views37738 -
No Image
3월 21일 국어사 강의 내용
Date2007.03.22 Category강의 By강창석 Views38519 -
No Image
3월 16일 국어사 강의 내용
Date2007.03.17 Category강의 By강창석 Views37792 -
No Image
3월 14일 국어사 강의 내용
Date2007.03.15 Category강의 By강창석 Views37665 -
No Image
3월 9일 국어사 강의 내용
Date2007.03.09 Category강의 By강창석 Views37083 -
No Image
3월 7일 강의 내용 요약
Date2007.03.07 Category강의 By강창석 Views379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