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제6장 전기중세국어(10세기~14세기)
* 시대구분의 근거
/10세기: 고려 건국에 따른 중앙어의 변화
/15세기: 14세기와 언어 차이가 크다
1. 자료
1) 鷄林類事
송나라의 사신(봉사고려국신서장관)으로 고려에 왔던 孫穆이 12세기 초(1103-1104)에 편찬한 책. 본래는 3권으로 “토풍 조제 방언” 및 부록 “구선각석등문”으로 이루어졌던 것으로 추정되는데, 현재 그 원본은 전하지 않고 「고금도서집성」(1725)과 「설부」에 그 초록이 전한다.
「계림유사」 方言에는 “天曰漢㮈”과 같이 한자로 당시의 국어 단어 또는 어구 350여항이 기록되어 있다. 손목이 고려에 와서 직접 기록한 것으로 보인다. 이 책의 한자음은 宋대의 개봉음으로 읽어야 할 것으로 추정된다.
* 계림유사 원문: 국어사 자료실에 있음
2) 鄕藥救急方
◦ 鄕藥救急方은 13세기 중엽 大藏都監에서 간행된 우리나라의 옛 醫藥書이다.
◦ 현재 初刊本은 전하지 않고, 조선 태종 17년(1417)에 간행된 重刊本만이 전한다. (일본 宮內省 書陵部 소장).
◦ 上, 中, 下 3권의 方文(本文)과 부록으로 되어 있는 이 책에는 약재로 사용된 180여종의 식물, 동물, 광물 등에 대한 요약된 설명이 실려 있는데, 차자표기로 鄕名들이 표기된 예들이 있어 국어 자료로서 소중한 가치를 지닌다.
* 향약구급방 원문: 국어사자료실 자료 참조
3) 二中曆
전기 중세국어의 수사를 기록해놓은 일본 자료. 대체로 12세기 초에 편찬된 것으로 보이는 책(회중력, 장중력)에서 뽑아 후세인이 적어 놓은 것.(기록자는 불명)
* 내용
일 katana 이 tufuri 삼 towi 사 sawi 오 esusu
육 hasusu 칠 tarikuni 팔 tirikuni 구 etari 십 etu
4) 고려가요
악학궤범과 악장가사에 수록된 고려시대의 가요. 이들은 15세기 후반에 문자로 기록된 것이므로 자료 이용에 세심한 주의를 요한다.
5) 고려사(1454) 등 문헌의 인명, 지명, 관명 표기
6) 몽고어 차용어
관명, 매, 말, 군사에 관한 것
15세기 이후에 문자로 기록
예) 용가, 아기 拔都
7) 구역인왕경 구결 등 차자표기 자료
2. 표기법
1) 계림유사:
새김으로 읽지 않고 모두 음(당시의 중국음)으로 읽어야 함
한자들이 순수한 표음보다는 표의적 성격이 강함
예) 刀子曰 割, 犬曰 家豨, 水曰 沒 등
- 한자가 표의문자이기 때문에 나타나는 특성
- 국어 단어를 중국어의 한 방언으로 본 듯(?)
2) 향약구급방
고대의 한자 차용 표기법을 따름
석독, 음독, 혼합표기 사용
3. 음운체계
1) 자음체계
ㄱ. 된소리계열의 등장
ㄴ. 어두자음군이 형성되지 않았다.
ㄷ. 반치음 ㅿ존재 확인, ㅸ 존재 불분명
ㄹ. ㄴ ㄷ ㅿ ㅅ ㅈ ㅊ 등 치음 앞의 ㄹ 유지
2) 모음체계: 교재 참조
* 전기중세국어와 후기중세국어 사이에 모음추이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됨
* 시대구분의 근거
/10세기: 고려 건국에 따른 중앙어의 변화
/15세기: 14세기와 언어 차이가 크다
1. 자료
1) 鷄林類事
송나라의 사신(봉사고려국신서장관)으로 고려에 왔던 孫穆이 12세기 초(1103-1104)에 편찬한 책. 본래는 3권으로 “토풍 조제 방언” 및 부록 “구선각석등문”으로 이루어졌던 것으로 추정되는데, 현재 그 원본은 전하지 않고 「고금도서집성」(1725)과 「설부」에 그 초록이 전한다.
「계림유사」 方言에는 “天曰漢㮈”과 같이 한자로 당시의 국어 단어 또는 어구 350여항이 기록되어 있다. 손목이 고려에 와서 직접 기록한 것으로 보인다. 이 책의 한자음은 宋대의 개봉음으로 읽어야 할 것으로 추정된다.
* 계림유사 원문: 국어사 자료실에 있음
2) 鄕藥救急方
◦ 鄕藥救急方은 13세기 중엽 大藏都監에서 간행된 우리나라의 옛 醫藥書이다.
◦ 현재 初刊本은 전하지 않고, 조선 태종 17년(1417)에 간행된 重刊本만이 전한다. (일본 宮內省 書陵部 소장).
◦ 上, 中, 下 3권의 方文(本文)과 부록으로 되어 있는 이 책에는 약재로 사용된 180여종의 식물, 동물, 광물 등에 대한 요약된 설명이 실려 있는데, 차자표기로 鄕名들이 표기된 예들이 있어 국어 자료로서 소중한 가치를 지닌다.
* 향약구급방 원문: 국어사자료실 자료 참조
3) 二中曆
전기 중세국어의 수사를 기록해놓은 일본 자료. 대체로 12세기 초에 편찬된 것으로 보이는 책(회중력, 장중력)에서 뽑아 후세인이 적어 놓은 것.(기록자는 불명)
* 내용
일 katana 이 tufuri 삼 towi 사 sawi 오 esusu
육 hasusu 칠 tarikuni 팔 tirikuni 구 etari 십 etu
4) 고려가요
악학궤범과 악장가사에 수록된 고려시대의 가요. 이들은 15세기 후반에 문자로 기록된 것이므로 자료 이용에 세심한 주의를 요한다.
5) 고려사(1454) 등 문헌의 인명, 지명, 관명 표기
6) 몽고어 차용어
관명, 매, 말, 군사에 관한 것
15세기 이후에 문자로 기록
예) 용가, 아기 拔都
7) 구역인왕경 구결 등 차자표기 자료
2. 표기법
1) 계림유사:
새김으로 읽지 않고 모두 음(당시의 중국음)으로 읽어야 함
한자들이 순수한 표음보다는 표의적 성격이 강함
예) 刀子曰 割, 犬曰 家豨, 水曰 沒 등
- 한자가 표의문자이기 때문에 나타나는 특성
- 국어 단어를 중국어의 한 방언으로 본 듯(?)
2) 향약구급방
고대의 한자 차용 표기법을 따름
석독, 음독, 혼합표기 사용
3. 음운체계
1) 자음체계
ㄱ. 된소리계열의 등장
ㄴ. 어두자음군이 형성되지 않았다.
ㄷ. 반치음 ㅿ존재 확인, ㅸ 존재 불분명
ㄹ. ㄴ ㄷ ㅿ ㅅ ㅈ ㅊ 등 치음 앞의 ㄹ 유지
2) 모음체계: 교재 참조
* 전기중세국어와 후기중세국어 사이에 모음추이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됨
●?Who's 강창석

-
No ImageNOTICE
2021년 1학기 [국어사] 줌(Zoom) 강의 안내
Date2021.02.23 Category알림 By강창석 Views24 -
NOTICE
2021년 1학기 [國語史] 강의노트 이용 안내
Date2008.03.03 Category기타 By강창석 Views213483 -
No ImageNOTICE
2021년 1학기 國語史 강의계획표
Date2007.03.02 Category기타 By강창석 Views203773 -
NOTICE
국어사 강의 교재 및 참고문헌
Date2007.03.02 Category기타 By강창석 Views208576 -
No Image
5월 9일, 11일 강의 내용
Date2007.05.18 Category강의 By강창석 Views46618 -
No Image
5월 4일 국어사 강의 내용
Date2007.05.04 Category강의 By강창석 Views42768 -
No Image
5월 2일 국어사 강의 내용
Date2007.05.02 Category강의 By강창석 Views47312 -
No Image
4월 20, 25일 국어사 강의 내용
Date2007.04.25 Category강의 By강창석 Views46078 -
No Image
4월 11일 국어사 강의 내용
Date2007.04.12 Category강의 By강창석 Views43661 -
No Image
3월 28일 국어사 강의 내용
Date2007.03.28 Category강의 By강창석 Views37730 -
No Image
3월 21일 국어사 강의 내용
Date2007.03.22 Category강의 By강창석 Views38512 -
No Image
3월 16일 국어사 강의 내용
Date2007.03.17 Category강의 By강창석 Views37786 -
No Image
3월 14일 국어사 강의 내용
Date2007.03.15 Category강의 By강창석 Views37660 -
No Image
3월 9일 국어사 강의 내용
Date2007.03.09 Category강의 By강창석 Views37074 -
No Image
3월 7일 강의 내용 요약
Date2007.03.07 Category강의 By강창석 Views379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