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제7장 후기 중세국어
1. 자료
1) 15세기에 훈민정음이 창제되어서 후기중세국어부터는 질적으로 우수한 자료(훈민정음으로 기록된 문헌)가 다수 존재함. 한문이나 이두 등으로 기록된 자료도 있으나 자료로서의 질이 정음 문헌에 비해 떨어지기 때문에 크게 주목받지는 못함.
2) 자료 목록과 각 자료의 특징: 교재, 홈페이지(국어사자료실) 참조
3) 정음으로 된 문헌자료를 이용할 때는 간행 연도나 초간본 여부 등 서지학적 고찰 필요
2. 훈민정음 체계
1) 15세기에 나온 문헌자료를 통해 당시의 음운, 문법 등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먼저 당시의 문자체계와 표기법을 제대로 파악해야 한다.
2) 창제 당시의 훈민정음 체계는 현대의 문자 체계와 다른 점이 많다.
- 문자의 수와 종류 :
- 각 문자의 음가 : ㅈ, ㅊ이나 ㅐ, ㅔ의 음가가 지금과 달랐다.
- 음에 대한 이론(인식 내용) :
3. 15세기 정서법의 원리
1) 소리대로 적는다(음소적 원리) : 표음문자의 기본(당연한) 원리
2) 음절 단위로 적는다 : 훈민정음 창제는 본래 음절을 기본 단위로 한 이론 즉 초성, 중성, 종성이 합쳐져야 음(절)을 이룰 수 있다는 생각에서 비롯된 것이므로 글자 역시 음 단위로 적는 것이 당연한 귀결이었다. 합자(모아쓰기) 원리를 특이하게 생각하는 것은 음소를 기본 단위로 인식하는 구미 이론의 관점에서 생각하기 때문.
4. 漢字語 표기법과 漢字音 표기
1) 한자어의 표기 문제
ㄱ. 훈민정음이 창제되면서 한자와 훈민정음의 역할 분담 문제가 발생하였다. 그 문제의 핵심은 한자어를 어떻게 표기할 것인가 하는 점이다(고유어를 정음으로 표기하는 것은 논란의 여지가 전혀 없음)
ㄴ. 한자어는 본래 훈민정음 즉 새로 만드는 문자의 표기 대상이 아니었던 것으로 추정
- 한자어는 한자라고 하는 표기수단이 이미 존재하고 있었다.
- 훈민정음이라는 이름 이전에 언문이라는 명칭이 먼저 널리 사용되었다.
ㄷ. 문자 완성 이후에 한자어에 음을 다는(주음) 방향으로 방침이 바뀐 듯
- 한자어를 한자로만 적으면 한자를 모르는 일반 백성들은 여전히 글을 읽기가 어렵다.
- 한자에 올바른 음(정음)을 달면 와전된 음(속음)을 바로잡을 수 있다고 생각함.
ㄹ. 한자음의 표기 방침이 정해지면서 표준한자음을 정하는 문제가 새로 생겨남. 결국 동국정운 편찬으로 귀결됨.
ㅁ. 정음 창제 이후 가장 먼저 나온 세 문헌의 한자어 표기 방법이 제각각 다르다.
용비어천가: 한자로 표기
월인천강지곡: 한글을 앞에 크게 쓰고 아래에 한자를 작게 표기함.
석보상절 : 한자를 앞에 크게 적고, 뒤에 작게 한글로 음을 표시함.
(* 국어사자료실에 각 문헌의 사진이 있으니 반드시 확인하기 바람)
2) 한자음
ㄱ. 15세기 문헌에 기록된 한자음은 두 가지 종류가 있다.
* 동국정운식 한자음: 세종의 연구를 통해 인위적으로 규정한 한자음. 한동안 표기에 사용되다가 성종 이후에 효력을 잃음.
* 현실 한자음(동음) ; 당시에 실제로 발음되었던 한자음으로 연산군 이후의 문헌은 이 한자음으로 표기함.
ㄴ. 동국정운 이후 표준한자음이 공식적으로 정해진 바 없다. 현재 국어사전 등에 나오는 한자음은 관습에 의한 규정임.
**
1. 한자어를 어떤 문자로 표기할 것이냐의 문제는 현대까지 이어지고 있다.
한글 전용 / 국한문혼용의 논쟁
2. 한글맞춤법에는 한자어의 표기 방법(원리)에 대한 규정이 없다.
- 한자어의 한글 표기는 15세기나 지금이나 단어의 표기가 아니라 한자 하나하나에 음을 다는 注音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
No ImageNOTICE
2021년 1학기 [국어사] 줌(Zoom) 강의 안내
Date2021.02.23 Category알림 By강창석 Views276 -
NOTICE
2021년 1학기 [國語史] 강의노트 이용 안내
Date2008.03.03 Category기타 By강창석 Views214333 -
No ImageNOTICE
2021년 1학기 國語史 강의계획표
Date2007.03.02 Category기타 By강창석 Views204614 -
NOTICE
국어사 강의 교재 및 참고문헌
Date2007.03.02 Category기타 By강창석 Views209371 -
No Image
5월 9일, 11일 강의 내용
Date2007.05.18 Category강의 By강창석 Views46820 -
No Image
5월 4일 국어사 강의 내용
Date2007.05.04 Category강의 By강창석 Views42956 -
No Image
5월 2일 국어사 강의 내용
Date2007.05.02 Category강의 By강창석 Views47513 -
No Image
4월 20, 25일 국어사 강의 내용
Date2007.04.25 Category강의 By강창석 Views46283 -
No Image
4월 11일 국어사 강의 내용
Date2007.04.12 Category강의 By강창석 Views43831 -
No Image
3월 28일 국어사 강의 내용
Date2007.03.28 Category강의 By강창석 Views37903 -
No Image
3월 21일 국어사 강의 내용
Date2007.03.22 Category강의 By강창석 Views38666 -
No Image
3월 16일 국어사 강의 내용
Date2007.03.17 Category강의 By강창석 Views37927 -
No Image
3월 14일 국어사 강의 내용
Date2007.03.15 Category강의 By강창석 Views37808 -
No Image
3월 9일 국어사 강의 내용
Date2007.03.09 Category강의 By강창석 Views37220 -
No Image
3월 7일 강의 내용 요약
Date2007.03.07 Category강의 By강창석 Views380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