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현대 한국의 명저(名著) 100권 [1945∼1984]
by 강창석 on Mar 07, 2007
현대 한국의 명저(名著) 100권 <1945∼1984>
--- 동아일보사 신동아 1985년 1월호 별책 부록 ---
<국어국문학편>
001 양주동(梁柱東, 1903∼1977)/여요전주(麗謠箋註), 1946. 을유문화사.
002 손진태(孫晉泰, 1900∼?)/한국민족설화(韓國民族說話)의 연구(硏究),
1947. 을유문화사.
003 구자균(具滋均, 1912∼1964)/한국평민문학사(韓國平民文學史), 1947,
문조사.
004 조윤제(趙潤濟, 1904∼1976)/국문학사(國文學史), 1949. 동국문화사.
005 이숭녕(李崇寧, 1908∼)/조선어음운론연구(朝鮮語音韻論硏究), 1949,
을유문화사.
006 이기문(李基文, 1930∼)/국어사개설(國語史槪說), 1961, 민중서관.
007 이가원(李家源, 1917∼)/연암소설연구(燕巖小說硏究), 1965, 을유문화사.
008 김동욱(金東旭, 1922∼)/춘향전연구(春香傳硏究), 1965, 연세대출판부.
009 백철(白鐵, 1908∼)/신문학사조사(新文學史潮史), 1968, 신구문화사.
010 이두현(李杜鉉, 1924∼)/한국가면극(韓國假面劇), 1969, 문화재관리국.
011 최현배(崔鉉培, 1894∼1970)/우리말본, 1971, 정음사.
012 김열규(金烈圭, 1932∼)/한국민속(韓國民俗)과 문학연구(文學硏究),
1971, 일조각.
013 심재완(沈載完, 1918∼)시조(時調)의 문헌적(文獻的) 연구(硏究), 1972,
세종문화사.
014 김윤식(金允植, 1936∼)/한국근대문예비평사연구(韓國近代文藝批評史硏究),
1973, 한얼문고
015 정한모(鄭韓模, 1923∼)/한국현대시문학사(韓國現代詩文學史), 1974, 일지사.
016 김병철(金秉喆, 1921∼)/한국근대번역문학사연구(韓國近代飜譯文學史硏究),
1975, 을유문화사.
017 허웅(許雄, 1918∼)/우리옛말본, 1977, 샘문화사.
018 정병욱(鄭炳昱, 1922∼1982)/한국고전시가론(韓國古典詩歌論),
1977, 신구문화사.
019 조동일(趙東一, 1939∼)/한국소설(韓國小說)의 이론(理論), 1977,
지식산업사.
020 김우창(金禹昌, 1937∼)/궁핍한 시대의 시인(詩人), 1977, 민음사.
021 백락청(白樂晴, 1938∼)/민족문학(民族文學)과 세계문학(世界文學),
1978, 창작과 비평사.
022 김완진(金完鎭, 1931∼)/향가해독법연구(鄕歌解讀法硏究), 1980,
서울대출판부.
023 유민영(柳敏榮, 1937∼)/한국현대희곡사(韓國現代戱曲史), 1982,
홍성사.
<역사학편>
024 고유섭(高裕燮, 1904∼1944)/한국탑파(韓國塔婆)의 연구(硏究), 1948,
을유문화사.
025 정인보(鄭寅普, 1893∼?)/담원국학산고(담園國學散藁), 1955, 문교사.
026 김두종(金斗鍾, 1896∼)/한국의학사(韓國醫學史), 1966, 탐구당.
027 전상운(全相運, 1928∼)/한국과학기술사(韓國科學技術史), 1966,
과학세계사.
028 이기백(李基白, 1924∼)/한국사신론(韓國史新論), 1967, 일조각.
029 홍이섭(洪以燮, 1914∼1974)/한국사9韓國史)의 방법(方法), 1968, 탐구당.
030 이광린(李光麟, 1924∼)/한국개화사연구(韓國開化史硏究), 1969, 일조각.
031 동아일보사편(東亞日報社篇)/삼일운동(三·一運動) 50주년(周年)
기념론집(紀念論集), 1969, 동아일보사.
032 김용섭(金容燮, 1931∼)/조선후기농업사연구(朝鮮後期農業史硏究) Ⅰ·Ⅱ,
1970, 일조각.
033 한우근(韓우劤, 1915∼)/동학란(東學亂) 기인(起因)에 관(關)한
연구(硏究), 1971, 서울대한국문화연구소.
034 변태섭(邊太燮, 1925∼)/고려정치제도사연구(高麗政治制度史硏究), 1971,
일조각.
035 김원룡(金元龍, 1922∼)/한국고고학개설(韓國考古學槪說), 1973, 일지사.
036 송찬식(宋贊植, 1936∼1984)/이조후기수공업(李朝後期手工業)에 관(關)한
연구(硏究), 1973, 서울대한국문화연구소.
037 한영우(韓永愚, 1938∼)/정도전사상(鄭道傳思想)의 연구(硏究), 1973,
서울대한국문화연구소.
038 김정배(金貞培, 1940∼)/한국민족문화(韓國民族文化)의 기원(起源), 1973,
고려대출판부.
039 김철준(金哲埈, 1923∼)/한국고대사회연구(韓國古代社會硏究), 1975,
지식산업사.
040 박구병(朴九秉, 1932∼)/한국어업사(韓國漁業史), 1975, 정음사.
041 이병도(李丙燾, 1896∼)/한국고대사연구(韓國古代史硏究), 1976, 박영사.
042 장사훈(張師勛, 1916∼)/한국음악사(韓國音樂史), 1976, 정음사.
043 천관우(千寬宇, 1925∼)/근세조선사연구(近世朝鮮史硏究), 1979, 일조각.
044 강진철(姜晉哲, 1917∼)/고려토지제도사연구(高麗土地制度史硏究), 1980,
고려대출판부.
045 이성무(李成茂, 1937∼)/조선초기양반연구(朝鮮初期兩班硏究), 1980,
일조각.
046 강동진(姜東鎭, 1925∼)/일제(日帝)의 한국침략정책사(韓國侵略政策史),
1980, 한길사.
047 최승희(崔承熙, 1937∼)/한국고문서연구(韓國古文書硏究), 1981,
한국정신문화연구원.
048 김태영(金泰永, 1937∼)/조선전기토지제도사연구(朝鮮前期土地制度史硏究),
1983, 지식산업사.
049 정석종(鄭奭鍾, 1938∼)/조선후기사회변동연구(朝鮮後期社會變動硏究),
1983, 일조각.
050 강만길(姜萬吉, 1928∼)/한국근대사(韓國近代史)·한국현대사(韓國現代史),
1984, 창작과 비평사.
051 고병익(高柄翊, 1924)/동아교섭사(東亞交涉史)의 연구(硏究), 1970,
서울대출판부
052 전해종(全海宗, 1919∼)/한중관게사연구(韓中關係史硏究), 1970, 일조각.
053 민두기(閔斗基, 1932∼)/중국근대사연구(中國近代史硏究), 1973, 일조각.
054 김상기(金庠基, 1901∼1977)/동방사론총(東方史論叢), 1974, 서울대출판부.
055 민석홍(閔錫泓, 1925∼)/서양근대사연구(西洋近代史硏究), 1975, 일조각.
056 양병우(梁秉祐, 1923∼)/아테네민주정치사(民主政治史), 1976, 서울대출판부.
057 이인호(李仁浩, 1936∼)/러시아지성사연구(知性史硏究), 1980, 지식산업사.
058 차하순(車河淳, 1929∼)/형평(衡平)의 연구(硏究), 1983, 일조각.
<철학편>
059 현상윤(玄相允, 1892∼?)/조선유학사(朝鮮儒學史), 1949, 민중서관.
060 이을호(李乙浩, 1919∼)/다산경학사상연구(茶山經學思想硏究), 1966,
을유문화사.
061 차주환(車柱環, 1920∼)/한국도교사상연구(韓國道敎思想硏究), 1978,
서울대출판부.
062 조가경(曺街京, 1927∼)/실존철학(實存哲學), 1961, 박영사.
063 김태길(金泰吉, 1920∼)/윤리학(倫理學), 1964, 박영사.
064 고형곤(高亨坤, 1906∼)/선(禪)의 세계(世界), 1971, 삼영사.
065 박종홍(朴鍾鴻, 1903∼1976)/인식논리(認識論理), 1972, 박영사.
066 조요한(趙要翰, 1926∼)/예술철학(藝術哲學), 1973, 경문사.
067 임석진(林錫珍, 1932∼)/헤겔에 있어서의 노동(勞動)의 개념(槪念), 1981,
지학사.
068 박종현(朴琮炫, 194∼)/희랍사상(希臘思想)의 이해(理解), 1982, 종로서적.
<사회학편>
069 이상백(李相佰, 1904∼1966)/한국문화사연구론총(韓國文化史硏究論叢),
1947, 을유문화사.
070 김두헌(金斗憲, 1903∼1981)한국가족제도사연구(韓國家族制度史硏究),
1949, 을유문화사.
071 최문환(崔文煥, 1916∼1975)/민족주의(民族主義)의 전개과정(展開過程),
1958, 백영사.
072 이만갑(李萬甲, 1921∼)/한국농촌(韓國農村)의 사회구조(社會構造), 1960,
한국연구도서관.
073 신용하(愼鏞廈, 1937∼)/독립협회연구(獨立協會硏究), 1976, 일조각.
074 김영모(金泳謨, 1938∼)/한국사회게층연구(韓國社會階層硏究), 1982,
일조각.
075 최재석(崔在錫, 1926∼)/한국가족제도사연구(韓國家族制度史硏究), 1983,
일지사.
<정치학편>
076 양호민(梁好民, 1919∼)/공산주의(共産主義)의 이론(理論)과 역사(歷史),
1956, 중앙문사.
077 민병태(閔丙台, 1913∼1977), 정치학(政治學), 1958, 보문각.
078 이용희(李用熙, 1917∼)/일반국제정치학(一般國際政治學), 1962, 박영사.
079 김상협(金相浹, 1920∼)/모택동사상(毛澤東思想), 1964, 지문각.
080 김준엽(金俊燁, 1926∼)·김창순(金昌順, 1920∼)/한국공산주의운동사
(韓國共産主義運動史), 1967∼1976, 아세아문제연구소.
081 이한빈(李漢彬, 1921∼)/사회변동(社會變動)과 행정(行政), 1968, 박영사.
082 차기벽(車基璧, 1924∼)/근대화정치론(近代化政治論), 1969, 박영사.
083 윤천주(尹天柱, 1921∼)/한국정치체계(韓國政治體系), 1978, 서울대출판부
<경제학편>
084 최호진(崔虎鎭, 1914∼)/근대한국경제사연구(近代韓國經濟史硏究), 1958,
박영사.
085 홍성유(洪性유, 1924∼)/한국경제(韓國經濟)의 자본축적과정
(資本蓄積過程), 1965, 아세아문화연구소.
086 김준보(金俊輔, 1915∼)/한국자본주의사연구(韓國資本主義史硏究)
Ⅰ·Ⅱ·Ⅲ, 1974∼77, 일조각.
087 조기준(趙璣濬, 1917∼)/한국자본주의성립사론(韓國資本主義成立史論),
1977, 대왕사.
088 박현채(朴玄埰, 1934∼)/민족경제론(民族經濟論), 1978, 한길사.
089 김윤환(金潤煥, 1921∼)/한국노동운동사(韓國勞動運動史), 1982, 청사.
090 김병태(金炳台, 1927∼)/한국농업경제론(韓國農業經濟論), 1982,
비봉출판사.
091 변형윤(邊衡尹, 1927∼)/분배(分配)의 경제학(經濟學), 1983, 한길사.
<법학편>
092 유진오(兪鎭午, 1906∼)/신고헙법해의(新稿憲法解義), 1953, 일조각.
093 이항녕(李恒寧, 1915∼)/법철학개론(法哲學槪論), 1955, 수도문화사.
094 유기천(劉基天, 1915∼)/형법학(刑法學), 1960, 박영사.
095 정광현(鄭光鉉, 1902∼1980)/한국가족법연구(韓國家族法硏究), 1967,
서울대출판부.
096 박병호(朴秉濠, 1931∼)/한국법제사고(韓國法制史攷), 1974, 법문사.
097 최태영(崔泰永, 1900∼)/법철학(法哲學), 1977, 숙명여대출판부.
098 김철수(金哲洙, 1933∼)/현대헌법론(現代憲法論), 1979, 박영사.
099 전봉덕(田鳳德, 1910∼)/한국근대법사상사(韓國近代法思想史), 1981,
박영사.
100 최종고(崔鍾庫, 1947∼)/한국(韓國)의 서양법수용사(西洋法受容史),
1982, 박영사.
--- 동아일보사 신동아 1985년 1월호 별책 부록 ---
<국어국문학편>
001 양주동(梁柱東, 1903∼1977)/여요전주(麗謠箋註), 1946. 을유문화사.
002 손진태(孫晉泰, 1900∼?)/한국민족설화(韓國民族說話)의 연구(硏究),
1947. 을유문화사.
003 구자균(具滋均, 1912∼1964)/한국평민문학사(韓國平民文學史), 1947,
문조사.
004 조윤제(趙潤濟, 1904∼1976)/국문학사(國文學史), 1949. 동국문화사.
005 이숭녕(李崇寧, 1908∼)/조선어음운론연구(朝鮮語音韻論硏究), 1949,
을유문화사.
006 이기문(李基文, 1930∼)/국어사개설(國語史槪說), 1961, 민중서관.
007 이가원(李家源, 1917∼)/연암소설연구(燕巖小說硏究), 1965, 을유문화사.
008 김동욱(金東旭, 1922∼)/춘향전연구(春香傳硏究), 1965, 연세대출판부.
009 백철(白鐵, 1908∼)/신문학사조사(新文學史潮史), 1968, 신구문화사.
010 이두현(李杜鉉, 1924∼)/한국가면극(韓國假面劇), 1969, 문화재관리국.
011 최현배(崔鉉培, 1894∼1970)/우리말본, 1971, 정음사.
012 김열규(金烈圭, 1932∼)/한국민속(韓國民俗)과 문학연구(文學硏究),
1971, 일조각.
013 심재완(沈載完, 1918∼)시조(時調)의 문헌적(文獻的) 연구(硏究), 1972,
세종문화사.
014 김윤식(金允植, 1936∼)/한국근대문예비평사연구(韓國近代文藝批評史硏究),
1973, 한얼문고
015 정한모(鄭韓模, 1923∼)/한국현대시문학사(韓國現代詩文學史), 1974, 일지사.
016 김병철(金秉喆, 1921∼)/한국근대번역문학사연구(韓國近代飜譯文學史硏究),
1975, 을유문화사.
017 허웅(許雄, 1918∼)/우리옛말본, 1977, 샘문화사.
018 정병욱(鄭炳昱, 1922∼1982)/한국고전시가론(韓國古典詩歌論),
1977, 신구문화사.
019 조동일(趙東一, 1939∼)/한국소설(韓國小說)의 이론(理論), 1977,
지식산업사.
020 김우창(金禹昌, 1937∼)/궁핍한 시대의 시인(詩人), 1977, 민음사.
021 백락청(白樂晴, 1938∼)/민족문학(民族文學)과 세계문학(世界文學),
1978, 창작과 비평사.
022 김완진(金完鎭, 1931∼)/향가해독법연구(鄕歌解讀法硏究), 1980,
서울대출판부.
023 유민영(柳敏榮, 1937∼)/한국현대희곡사(韓國現代戱曲史), 1982,
홍성사.
<역사학편>
024 고유섭(高裕燮, 1904∼1944)/한국탑파(韓國塔婆)의 연구(硏究), 1948,
을유문화사.
025 정인보(鄭寅普, 1893∼?)/담원국학산고(담園國學散藁), 1955, 문교사.
026 김두종(金斗鍾, 1896∼)/한국의학사(韓國醫學史), 1966, 탐구당.
027 전상운(全相運, 1928∼)/한국과학기술사(韓國科學技術史), 1966,
과학세계사.
028 이기백(李基白, 1924∼)/한국사신론(韓國史新論), 1967, 일조각.
029 홍이섭(洪以燮, 1914∼1974)/한국사9韓國史)의 방법(方法), 1968, 탐구당.
030 이광린(李光麟, 1924∼)/한국개화사연구(韓國開化史硏究), 1969, 일조각.
031 동아일보사편(東亞日報社篇)/삼일운동(三·一運動) 50주년(周年)
기념론집(紀念論集), 1969, 동아일보사.
032 김용섭(金容燮, 1931∼)/조선후기농업사연구(朝鮮後期農業史硏究) Ⅰ·Ⅱ,
1970, 일조각.
033 한우근(韓우劤, 1915∼)/동학란(東學亂) 기인(起因)에 관(關)한
연구(硏究), 1971, 서울대한국문화연구소.
034 변태섭(邊太燮, 1925∼)/고려정치제도사연구(高麗政治制度史硏究), 1971,
일조각.
035 김원룡(金元龍, 1922∼)/한국고고학개설(韓國考古學槪說), 1973, 일지사.
036 송찬식(宋贊植, 1936∼1984)/이조후기수공업(李朝後期手工業)에 관(關)한
연구(硏究), 1973, 서울대한국문화연구소.
037 한영우(韓永愚, 1938∼)/정도전사상(鄭道傳思想)의 연구(硏究), 1973,
서울대한국문화연구소.
038 김정배(金貞培, 1940∼)/한국민족문화(韓國民族文化)의 기원(起源), 1973,
고려대출판부.
039 김철준(金哲埈, 1923∼)/한국고대사회연구(韓國古代社會硏究), 1975,
지식산업사.
040 박구병(朴九秉, 1932∼)/한국어업사(韓國漁業史), 1975, 정음사.
041 이병도(李丙燾, 1896∼)/한국고대사연구(韓國古代史硏究), 1976, 박영사.
042 장사훈(張師勛, 1916∼)/한국음악사(韓國音樂史), 1976, 정음사.
043 천관우(千寬宇, 1925∼)/근세조선사연구(近世朝鮮史硏究), 1979, 일조각.
044 강진철(姜晉哲, 1917∼)/고려토지제도사연구(高麗土地制度史硏究), 1980,
고려대출판부.
045 이성무(李成茂, 1937∼)/조선초기양반연구(朝鮮初期兩班硏究), 1980,
일조각.
046 강동진(姜東鎭, 1925∼)/일제(日帝)의 한국침략정책사(韓國侵略政策史),
1980, 한길사.
047 최승희(崔承熙, 1937∼)/한국고문서연구(韓國古文書硏究), 1981,
한국정신문화연구원.
048 김태영(金泰永, 1937∼)/조선전기토지제도사연구(朝鮮前期土地制度史硏究),
1983, 지식산업사.
049 정석종(鄭奭鍾, 1938∼)/조선후기사회변동연구(朝鮮後期社會變動硏究),
1983, 일조각.
050 강만길(姜萬吉, 1928∼)/한국근대사(韓國近代史)·한국현대사(韓國現代史),
1984, 창작과 비평사.
051 고병익(高柄翊, 1924)/동아교섭사(東亞交涉史)의 연구(硏究), 1970,
서울대출판부
052 전해종(全海宗, 1919∼)/한중관게사연구(韓中關係史硏究), 1970, 일조각.
053 민두기(閔斗基, 1932∼)/중국근대사연구(中國近代史硏究), 1973, 일조각.
054 김상기(金庠基, 1901∼1977)/동방사론총(東方史論叢), 1974, 서울대출판부.
055 민석홍(閔錫泓, 1925∼)/서양근대사연구(西洋近代史硏究), 1975, 일조각.
056 양병우(梁秉祐, 1923∼)/아테네민주정치사(民主政治史), 1976, 서울대출판부.
057 이인호(李仁浩, 1936∼)/러시아지성사연구(知性史硏究), 1980, 지식산업사.
058 차하순(車河淳, 1929∼)/형평(衡平)의 연구(硏究), 1983, 일조각.
<철학편>
059 현상윤(玄相允, 1892∼?)/조선유학사(朝鮮儒學史), 1949, 민중서관.
060 이을호(李乙浩, 1919∼)/다산경학사상연구(茶山經學思想硏究), 1966,
을유문화사.
061 차주환(車柱環, 1920∼)/한국도교사상연구(韓國道敎思想硏究), 1978,
서울대출판부.
062 조가경(曺街京, 1927∼)/실존철학(實存哲學), 1961, 박영사.
063 김태길(金泰吉, 1920∼)/윤리학(倫理學), 1964, 박영사.
064 고형곤(高亨坤, 1906∼)/선(禪)의 세계(世界), 1971, 삼영사.
065 박종홍(朴鍾鴻, 1903∼1976)/인식논리(認識論理), 1972, 박영사.
066 조요한(趙要翰, 1926∼)/예술철학(藝術哲學), 1973, 경문사.
067 임석진(林錫珍, 1932∼)/헤겔에 있어서의 노동(勞動)의 개념(槪念), 1981,
지학사.
068 박종현(朴琮炫, 194∼)/희랍사상(希臘思想)의 이해(理解), 1982, 종로서적.
<사회학편>
069 이상백(李相佰, 1904∼1966)/한국문화사연구론총(韓國文化史硏究論叢),
1947, 을유문화사.
070 김두헌(金斗憲, 1903∼1981)한국가족제도사연구(韓國家族制度史硏究),
1949, 을유문화사.
071 최문환(崔文煥, 1916∼1975)/민족주의(民族主義)의 전개과정(展開過程),
1958, 백영사.
072 이만갑(李萬甲, 1921∼)/한국농촌(韓國農村)의 사회구조(社會構造), 1960,
한국연구도서관.
073 신용하(愼鏞廈, 1937∼)/독립협회연구(獨立協會硏究), 1976, 일조각.
074 김영모(金泳謨, 1938∼)/한국사회게층연구(韓國社會階層硏究), 1982,
일조각.
075 최재석(崔在錫, 1926∼)/한국가족제도사연구(韓國家族制度史硏究), 1983,
일지사.
<정치학편>
076 양호민(梁好民, 1919∼)/공산주의(共産主義)의 이론(理論)과 역사(歷史),
1956, 중앙문사.
077 민병태(閔丙台, 1913∼1977), 정치학(政治學), 1958, 보문각.
078 이용희(李用熙, 1917∼)/일반국제정치학(一般國際政治學), 1962, 박영사.
079 김상협(金相浹, 1920∼)/모택동사상(毛澤東思想), 1964, 지문각.
080 김준엽(金俊燁, 1926∼)·김창순(金昌順, 1920∼)/한국공산주의운동사
(韓國共産主義運動史), 1967∼1976, 아세아문제연구소.
081 이한빈(李漢彬, 1921∼)/사회변동(社會變動)과 행정(行政), 1968, 박영사.
082 차기벽(車基璧, 1924∼)/근대화정치론(近代化政治論), 1969, 박영사.
083 윤천주(尹天柱, 1921∼)/한국정치체계(韓國政治體系), 1978, 서울대출판부
<경제학편>
084 최호진(崔虎鎭, 1914∼)/근대한국경제사연구(近代韓國經濟史硏究), 1958,
박영사.
085 홍성유(洪性유, 1924∼)/한국경제(韓國經濟)의 자본축적과정
(資本蓄積過程), 1965, 아세아문화연구소.
086 김준보(金俊輔, 1915∼)/한국자본주의사연구(韓國資本主義史硏究)
Ⅰ·Ⅱ·Ⅲ, 1974∼77, 일조각.
087 조기준(趙璣濬, 1917∼)/한국자본주의성립사론(韓國資本主義成立史論),
1977, 대왕사.
088 박현채(朴玄埰, 1934∼)/민족경제론(民族經濟論), 1978, 한길사.
089 김윤환(金潤煥, 1921∼)/한국노동운동사(韓國勞動運動史), 1982, 청사.
090 김병태(金炳台, 1927∼)/한국농업경제론(韓國農業經濟論), 1982,
비봉출판사.
091 변형윤(邊衡尹, 1927∼)/분배(分配)의 경제학(經濟學), 1983, 한길사.
<법학편>
092 유진오(兪鎭午, 1906∼)/신고헙법해의(新稿憲法解義), 1953, 일조각.
093 이항녕(李恒寧, 1915∼)/법철학개론(法哲學槪論), 1955, 수도문화사.
094 유기천(劉基天, 1915∼)/형법학(刑法學), 1960, 박영사.
095 정광현(鄭光鉉, 1902∼1980)/한국가족법연구(韓國家族法硏究), 1967,
서울대출판부.
096 박병호(朴秉濠, 1931∼)/한국법제사고(韓國法制史攷), 1974, 법문사.
097 최태영(崔泰永, 1900∼)/법철학(法哲學), 1977, 숙명여대출판부.
098 김철수(金哲洙, 1933∼)/현대헌법론(現代憲法論), 1979, 박영사.
099 전봉덕(田鳳德, 1910∼)/한국근대법사상사(韓國近代法思想史), 1981,
박영사.
100 최종고(崔鍾庫, 1947∼)/한국(韓國)의 서양법수용사(西洋法受容史),
1982, 박영사.
-
1984년까지 나온 도서를 대상으로 선정한 결과라는 점을 유의할 것.
-
국어국문학 편에서는 저자 이름이 익숙한 분이 많네요^^;; 당연히 그래야겠지만...
번호 | 분류 | 제목 | 글쓴이 | 최근 수정일 | 날짜 | 조회 수 |
---|---|---|---|---|---|---|
공지 | 알림 |
2021년 1학기 [국어사] 줌(Zoom) 강의 안내
![]() |
강창석 | 2021.02.25 | 2021.02.23 | 24 |
공지 | 기타 |
2021년 1학기 [國語史] 강의노트 이용 안내
![]() ![]() |
강창석 | 2021.02.25 | 2008.03.03 | 213483 |
공지 | 기타 | 2021년 1학기 國語史 강의계획표 | 강창석 | 2021.02.16 | 2007.03.02 | 203773 |
공지 | 기타 |
국어사 강의 교재 및 참고문헌
![]() ![]() |
강창석 | 2021.02.25 | 2007.03.02 | 208578 |
» | 참고 | 현대 한국의 명저(名著) 100권 [1945∼1984] [2] | 강창석 | 2011.03.17 | 2007.03.07 | 40277 |
3 | 참고 |
세계의 주요 語族
![]() ![]() |
강창석 | 2008.03.18 | 2007.03.22 | 34641 |
2 | 참고 | 한국어 계통 연구의 개척자 람스테드(Gustaf John Ramstedt) [3] | 강창석 | 2010.03.29 | 2007.03.28 | 38706 |
1 | 참고 | 백제어에 관한 참고자료 | 강창석 | 2011.12.28 | 2008.04.03 | 4243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