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후기중세국어 자료 목록
편찬(간행)1400-1599☞ 후기중세국어 자료 목록 - 1996년에 국립국어연구원에서 펴낸 '국어의 시대별 변천ㆍ실태 연구 1' 참조 - *표를 붙인 것은 추정한 연대임을 나타냄 - 자료 입력 및 편집: 강창석(충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자료 이름 간행 년도 편/저자/서지 사항 등 훈민정음 (訓民正音) 세종 28(1446) 본문은 세종, 解例 부분은 정인지 등이 저술한 훈민정음 해설서. 1940년 경북 안...Date2007.05.10 Category후기중세 Views14914 -
조선관역어(朝鮮館譯語)
편찬(간행)1400『조선관역어』는「화이역어」(華夷譯語)속에 들어있는 중국어와 우리 국어의 대역 어휘집이다.「화이역어」란 한 마디로 말해서 명대 초엽에 걸쳐 청대 중엽에 걸쳐 중국에서 편찬된 중국어와 인근 제어의 대역 어휘집의 총칭이다.「화이역어」는 그 계통이 매우 복잡하지만 대체로 네 계통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첫째, 홍무 22년(1389)에 간행된 중국어와 몽고어의 대...Date2007.05.10 Category후기중세 Views12888 -
훈민정음(訓民正音)
편찬(간행)1446훈민정음(訓民正音) 1. 자료 해설 이 책은 세종이 새 문자(훈민정음)를 창제한 후에 정인지 등의 학자들에게 명하여 편찬한 해설서이다. 정인지, 최항, 박팽년, 신숙주, 성삼문, 강희안, 이개, 이선로 등 8명의 학자가 이 사업에 참여하여 세종 28년 9월(음력)에 완성(반포)되었다. <세종실록> 권 113의 28년 9월조 끝에서 “이 달에 훈민정음이 이룩되었다(是月訓民正音成)” 고...Date2007.05.10 Category후기중세 Views10296 -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편찬(간행)14471. 자료 해설 용비어천가는 穆祖로부터 太宗에 이르기까지 六祖의 사적을 통해 조선 왕조 건국의 어려움과 그 천명성을 보이고 있는 125장의 한글 가사와 그에 해당하는 한시를 본문으로 하여, 각 장별로 한문 주해가 붙어있는 책이다. 이 책은 세종대왕의 명에 의해 세종 24년(1442년) 3월부터 준비작업이 시작되어, 세종 27년(1445) 4월에 권제, 정인지, 안지 등에 의해 본...Date2007.05.10 Category후기중세 Views28138 -
석보상절(釋譜詳節)
편찬(간행)14471. 자료 해설 세종 28년(1446)에 소현왕후가 죽자, 죽은 왕비의 명복을 빌기 위해 세종의 명으로 편찬한 책이다. 수양대군(후의 세조)이 김수온 등의 도움을 받아 석가의 가족과 그의 일대기를 기록하고 이를 한글로 번역한 책이다. 책이 언제 간행되었는지는 확실하지 않지만, 수양대군의『석보상절 서(序)』가 세종 29년(1447)으로 되어있고, 또 9권의 표지 안에 ‘정통십사년 ...Date2007.05.10 Category후기중세 Views14539 -
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
편찬(간행)1447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 1. 자료 해설: 조선 세종 28년(1446) 소헌왕후 심씨가 죽자 세종은 그의 명복을 빌기 위해 아들인 수양대군(후의 세조)에게 명하여 석가의 일대기를 짓게 하였는데 그 책이 곧『석보상절』이다. 세종은『석보상절』을 읽고 각각 2구절에 따라 찬가를 지었는데 이것이 바로 『월인천강지곡』이다. 세종 29년(1447)에 완성되었다. 月印千江이란 ...Date2007.05.10 Category후기중세 Views18884 -
동국정운(東國正韻)
편찬(간행)14481. 자료 해설: 조선 세종 때 신숙주 최항 박팽년 강희안등이 왕명으로 편찬하여 1448년에 간행한 최초의 운서(韻書). 중국 운서인 《홍무정운(洪武正韻)》에 대비되는 것으로, 당시 정리되어 있지 않던 한자음을 바로잡아 통일된 표준음을 정하려는 목적으로 편찬되었다. 6권 6책. 활자본. ⑴ 동국정운 제1·6권. 간송문고본. 1940년 경상북도 안동(安東)에서 발견되었다. 책머리...Date2007.05.10 Category후기중세 Views10786 -
월인석보(月印釋譜)
편찬(간행)14591. 자료 해설 月印千江之曲과 석보상절을 합편한 책으로 세조 5년(1459)에 목판본으로 간행되었다. 책 이름 ‘월인석보’는 ‘월인천강지곡’과 ‘석보상절’에서 앞의 두 글자씩을 따온 것이다. 두 책을 합편하면서 상당한 개편이 이루어졌다. 권1에는 訓民正音諺解가 실려 있는데, 그 초간본으로 추정되는 책이 전한다. 《월인석보》의 체재는 부왕(父王)인 세종이 지은 <월인천강...Date2007.05.11 Category후기중세 Views20494 -
능엄경언해(楞嚴經諺解)
편찬(간행)1461능엄경언해(楞嚴經諺解) 1. 자료 해설 불교의 근본 경전의 하나인 《능엄경》을 우리말로 번역한 책이다. 한문 원문에 세조가 한글로 구결을 달고 한계희(韓繼禧), 김수온(金守溫) 등이 혜각존자(慧覺尊者) 신미(信眉)의 도움을 받아 번역하였다. 1449년(세종 31) 세종의 명령으로 수양대군이 번역에 착수하였으나 끝내지 못하고 미루어지다가, 1461년(세조 7) 5월 석가의 분...Date2007.05.14 Category후기중세 Views13956 -
법화경언해(法華經諺解)
편찬(간행)1463법화경언해(法華經諺解) 1. 자료 해설 대승불교의 대표적 경전인 <묘법법화경>(약칭: 법화경)을 조선 전기에 간경도감에서 한글로 번역한 책이다. 책 이름의 ‘묘법연화’는 “모든 법은 묘하여 더러운 물에서 나지만 더러운 데 물들지 않고 연꽃과 같이 청정하다”는 뜻이다. 이 불교 경전의 한역본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그 중에서 구마라습(鳩滅什)이 한역한 《묘법연화경(妙法...Date2007.05.14 Category후기중세 Views132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