世‧솅宗御‧엉製졩訓‧훈民민正‧졍音
製 글 지 씨니 御製 님금 지샨 그리라 訓은 칠 씨오
民 百姓이오 音은 소리니 訓民正音은 百姓 치시논 正 소리라
國‧귁之징語:어音이
國 나라히라 之 입겨지라 語는 말미라
나랏말미
異‧잉乎中國‧귁야
異 다 씨라 乎 아모그 논 겨체 는 字ㅣ라
中國 皇帝 겨신 나라히니 우리나랏 常談애 江南이라 니라
中國귁에 달아
與:영文문字‧로 不‧相流通통‧
與는 이와 뎌와 겨체 字ㅣ라 文은 글와리라 不은 아니 논 디라
相 서르 논 디라 流通 흘러 씨라
文문字와로 서르 디 아니
故‧공‧로 愚民민‧이 有:所:송欲‧욕言‧야‧도
故 젼라 愚는 어릴 씨라 有는 이실 씨라 所 배라 欲 고져 씨라 言은 니를 씨라
이런 젼로 어린 百姓이 니르고져 배 이셔도
而終不‧得‧득伸신其끵情‧者:쟝ㅣ 多당矣:‧라
而 입겨지라 終은 미라 得은 시를 씨라 伸 펼 씨라
其 제라 情은 디라 者 노미라 多 할 씨라 矣& 말 입겨지라
내 제 들 시러 펴디 몯 노미 하니라
영ㅣ 爲‧윙此:憫:민然‧‧야
予는 내 시논 디시니라 此 이라 憫然은 어엿비 너기실 씨라
내 이 爲윙야 어엿비 너겨
新신制‧졩二‧十‧씹八‧字‧‧노‧니
新 새라 制 실 씨라 二十八 스믈여들비라
새로 스믈여듧 字 노니
欲‧욕使:人人‧‧로 易‧잉習‧씹‧‧야 便뼌於日‧用‧耳:니‧라
使 논 마리라 人 사미라 易 쉬 씨라 習 니길 씨라 便은 便安 씨라
於는 아모그 논 겨체 는 字ㅣ라 日 나리라 用 씨라 耳 미라 논 디라
사마다 수 니겨 날로 메 便뼌安킈 고져 미니라
ᄀ‧ 牙音‧이‧니 如 君군ㄷ字‧初총發‧聲‧니
竝‧書셩‧면 如 虯 字‧ 初총 發‧ 聲‧니‧라
牙 어미라 如는 씨라 初發聲은 처 펴아 나 소리라 並書는 쓸 씨라
ㄱ 엄쏘리니 君군ㄷ 字 처 펴아 나 소리 니
쓰면 虯ㅸ字 처 펴아 나 소리 니라
ᄏ‧ 牙音‧이‧니 如 快‧쾡ᅙ 字‧ 初총 發‧ 聲‧니‧라
ㅋ 엄쏘리니 快쾡ㆆ 字 처 펴아 나 소리 니라
ᅌ‧ 牙音‧이‧니 如 業‧ 字‧ 初총 發‧ 聲‧니‧라
ㆁ 엄쏘리니 業 字 처 펴아 나 소리 니라
ᄃ 舌‧音‧이‧니 如 斗: ㅸ 字‧ 初총 發‧ 聲‧니
竝‧書셩‧면 如 覃땀字‧ 初총 發‧ 聲‧니‧라
舌은 혜라
ㄷ 혀쏘리니 斗 ㅸ 字 처 펴아 나 소리 니
쓰면 覃땀ㅂ 字 처 펴아 나 소리 니라‧
ᄐ 舌‧音‧이‧니 如 呑ㄷ字‧ 初총 發‧ 聲‧니‧라
ㅌ 혀쏘리니 呑ㄷ字 처 펴아 나 소리 니라
ᄂ 舌‧音‧이‧니 如 那낭ᅙ 字‧ 初총 發‧ 聲‧니‧라
ㄴ 혀쏘리니 那낭ㆆ 字 처 펴아 나 소리 니라
ᄇ 脣쓘音‧이‧니 如 彆‧ 字‧ 初총 發‧ 聲‧니
竝‧書셩‧면 如 步‧뽕 字‧ 初총 發‧ 聲‧니‧라
脣은 입시우리라
ㅂ 입시울쏘리니 彆 字 처 펴아 나 소리 니
쓰면 步뽕ㆆ 字 처 펴아 나 소리 니라
ᄑ 脣쓘 音‧이‧니 如 漂 ㅸ 字‧ 初총 發‧ 聲‧니‧라
ㅍ 입시울쏘리니 漂 ㅸ 字 처 펴아 나 소리 니라
ᄆ 脣쓘音‧이‧니 如 彌밍 字‧ 初총 發‧ 聲‧니‧라
ㅁ 입시울쏘리니 彌밍ㆆ 字 처 펴아 나 소리 니라
ᄌ 齒:칭音‧이‧니 如 卽‧즉 字‧ 初총 發‧ 聲‧니
竝‧書셩‧면 如 慈ᅙ 字‧ 初총 發‧ 聲‧니‧라
齒 니라
ㅈ 니쏘리니 卽즉 字 처 펴아 나 소리 니
쓰면 慈ㆆ 字 처 펴아 나 소리 니라
ᄎ 齒:칭音‧이‧니 如 侵침ㅂ 字‧ 初총 發‧ 聲‧니‧라
ㅊ 니쏘리니 侵침ㅂ 字 처 펴아 나 소리 니라
ᄉ 齒:칭音‧이‧니 如 戌‧ 字‧ 初총 發‧ 聲‧니
竝‧書셩‧면 如 邪썅ᅙ 字‧ 初총 發‧ 聲‧니‧라
ㅅ 니쏘리니 戌 字 처 펴아 나 소리 니
쓰면 邪썅ㆆ 字 처 펴아 나 소리 니라
ᅙ 喉 音‧이‧니 如 挹‧ 字‧ 初총 發‧聲‧니‧라
喉는 모기라
ㆆ 목소리니 挹 字 처 펴아 나 소리 니라
ᄒ 喉音‧이‧니 如 虛헝ᅙ 字‧ 初총 發‧ 聲‧니
竝‧書셩‧면 如 洪 字‧ 初총 發‧ 聲‧니‧라
ㅎ 목소리니 虛헝ㆆ 字 처 펴아 나 소리 니
쓰면 洪ㄱ 字 처 펴아 나 소리 니라
ᄋ 喉音‧이‧니 如 欲‧욕 字‧ 初총 發‧ 聲‧니‧라
ㅇ 목소리니 欲욕 字 처 펴아 나 소리 니라
ᄅ 半‧반舌‧音‧이‧니 如 閭령ᅙ 字‧ 初총 發‧ 聲‧니‧라
ㄹ 半반혀쏘리니 閭령ㆆ 字 처 펴아 나 소리 니라
ᅀ 半‧반齒:칭音‧이‧니 如 穰ㄱ 字‧ 初총 發‧ 聲‧니‧라
ㅿ 半반니쏘리니 穰ㄱ 字 처 펴아 나 소리 니라
ㆍ 如 呑ㄷ 字‧ 中 聲‧니‧라
中은 가온라
ㆍ 呑ㄷ 字 가온소리 니라
ㅡ는 如 卽‧즉 字‧ 中 聲‧니‧라
ㅡ는 卽즉 字 가온소리 니라
ㅣ 如 侵침ㅂ 字‧ 中 聲‧니‧라
ㅣ 侵침ㅂ 字 가온소리 니라
ㅗ 如 洪ㄱ 字‧ 中 聲‧니‧라
ㅗ 洪ㄱ 字 가온소리 니라
ㅏ 如 覃땀ㅂ 字‧ 中 聲‧니‧라
ㅏ 覃땀ㅂ 字 가온소리 니라
ㅜ는 如 君군ㄷ 字‧ 中 聲‧니‧라
ㅜ는 君군ㄷ 字 가온소리 니라
ㅓ는 如 業‧ 字‧ 中 聲‧니‧라
ㅓ는 業 字 가온소리 니라
ㅛ 如 欲‧욕 字‧ 中 聲‧니‧라
ㅛ 欲욕 字 가온소리 니라
ㅑ 如 穰ㄱ 字‧ 中 聲‧니‧라
ㅑ 穰ㄱ 字 가온소리 니라
ㅠ는 如 戌‧ 字‧ 中 聲‧니‧라
ㅠ는 戌 字 가온소리 니라
ㅕ는 如 彆‧ 字‧ 中 聲‧니‧라
ㅕ는 彆 字 가온소리 니라
終聲‧은 復‧ 用‧ 初총 聲‧‧니‧라
復는 다시 논 디 라
乃냉終ㄱ소리 다시 첫소리 니라
ᄋ 連련書셩 脣쓘音之징下:‧면 則‧즉 爲윙脣쓘輕音‧‧니‧라
連은 니 씨라 下 아래라 則은 아리 면 겨체 字ㅣ라 爲 욀 씨라 輕은 가야 씨라
ㅇ 입시울쏘리 아래 니 쓰면 입시울가야소리 외니라
初총聲을 合‧用‧‧디면 則‧즉 竝‧書셩‧라 終聲‧도 同‧니‧라
合 어울 씨라 同 가지라 논 디라
첫소리 어울워 디면 쓰라 乃냉終ㄱ소리도 가지라
ㆍ ㅡ ㅗ ㅜ ㅛ ㅠ‧란 附‧뿡書셩 初총聲之징下:고
附는 브틀 씨라
ㆍ와 ㅡ와 ㅗ와 ㅜ와 ㅛ와 ㅠ와란 첫소리 아래 브텨 쓰고
ㅣ ㅏ ㅓ ㅑ ㅕ ‧란 附‧뿡書셩 於右:‧라
右는 올 녀기라
ㅣ와 ㅏ와 ㅓ와 ㅑ와 ㅕ와란 올 녀긔 브텨 쓰라
凡뻠字‧ㅣ 必‧合‧而成쎵音‧‧니
凡은 믈읫 논 디라 必 모로매 논 디라 成은 일 씨라
믈읫 字ㅣ 모로매 어우러 소리 이니
左:장加강一‧點:뎜‧면 則‧즉去‧컹聲‧이‧오
左 왼녀기라 加 더을 씨라 一 나히라 去聲은 노 소리라
왼녀긔 點뎜을 더으면 노소리오
二‧ 則‧즉 上:聲‧이‧오
二 둘히라 上聲은 처미 갑고 乃終이 노 소리라
點뎜이 둘히면 上聲이오
無뭉 則‧즉 平聲‧이‧오
無는 업슬 씨라 平聲은 가 소리라
點이 업스면 平聲이오
入‧聲‧은 加강點:뎜‧이 同而促‧쵹急‧급‧니‧라
入聲은 리 긋 소리라 促急은 씨라
入聲은 點뎜 더우믄 가지로 니라
漢‧한音齒:칭聲은 有:齒:칭頭正‧齒:칭之징別‧‧니
漢音은 中國 소리라 頭는 머리라 別은 씨라
中國귁 소리옛 니쏘리 齒칭頭와 正齒칭왜 요미 잇니
ᅎ ᅔ ᅏ ᄼ ᄽ 字‧ 用‧於齒:칭頭 고
이 소리 우리나랏 소리예셔 열니 혓 그티 웃닛머리예 다니라
ᅎ ᅔ ᅏ ᄼ ᄽ 字 齒칭頭ㅅ소리예 고
ᅐ ᅕ ᅑ ᄾ ᄿ 字‧ 用‧於正‧齒:칭‧‧니
이 소리 우리나랏 소리예셔 두터니 혓 그티 아랫 닛므유메 다니라
ᅐ ᅕ ᅑ ᄾ ᄿ 字 正齒칭ㅅ소리예 니
牙舌‧脣슌喉之징字‧ 通用‧於漢‧한音‧․니‧라
엄과 혀와 입시울와 목소리옛 字 中國귁 소리예 通히 니라
訓훈民민正졍音
2015.02.14 06:20
2008.12.29 11:35
강창석2008.12.13 07:36
2008.01.22 09:40
2007.11.08 15:52
2007.11.08 09:53
2007.11.08 08:27
2007.11.06 23:27
2007.11.06 22:43
2007.11.06 2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