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발표년 | 2017 |
---|---|
게재지 | 한글 제318호 |
원문파일 |

게재지 : 한글 제318호
수록면 : 47-84
발행처 : 한글학회
간행일 : 2017. 12.
* 국문 초록
국어의 조사는 오래 전부터 수많은 학자들에 의해 연구되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사의 용법과 기능을 둘러싼 논란은 아직도 끊이질 않는다. 이 글은 그동안의 조사 연구에서 드러난 문제점과 그 원인을 진단하고 대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글의 주 논의 대상은 조사 ‘에게’이다. 그동안의 ‘에게’ 논의에서는 ‘유정물(有情物)’이라는 낯선 용어가 등장하고 조사 ‘에’와의 이형태 여부가 쟁점이 되는 등 다른 조사의 경우와는 다른 양상이 전개되어 왔다. 이 글에서는 그러한 현상이 몇 가지 잘못된 전제에서 비롯된 것임을 밝히고 있다.
조사 ‘에게’는 본래 단일형태소가 아니라 ‘의+그+에’라는 통사 구성이었다. 즉 현대국어에서는 하나의 조사로 쓰이고 있지만, 기능이나 의미에서는 예전의 통사 구성이 가졌던 속성을 거의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예컨대, ‘에게’는 동물 뒤에 주로 쓰이는데 이것은 속격조사 ‘-의’가 지녔던 속성을 그대로 물려받은 것이고, ‘~의 그것에’라는 본래 의미 역시 지금도 대부분의 용례에서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 따라서 ‘에게’는 ‘에’와 이형태 관계가 아니라 별개의 조사이며, 두 조사의 차이를 ‘유정물’과 ‘무정물’이라는 용어로 구분해야 할 필요도 없다.
‘에게’의 위치는 ‘명사 뒤’가 아니라 ‘명사와 동사 사이’로 규정되어야 한다. ‘에게’는 조사 ‘이/가’나 ‘을/를’ 등과 마찬가지로 선행 명사와 후행 동사를 하나의 단위로 묶어주는 연결고리 기능을 하며, 둘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준다.
.
* 전체 내용은 첨부파일 참조.
공지 | 관리자(姜昶錫) 프로필(profile) 소개 | 2012.02.26 |
-
No Image
국어의 생략현상에 대하여 1
게재지언어와 정보사회 36발표년2019종류 : 논문 게재지 : 언어와 정보 사회 제36호 수록면 : 5-36 발행처 : 언어정보연구소 간행일 : 2019. 03. * 영문 초록 Kang, Chang Seok(2019), “Ellipsis in Korean Ⅰ,” Language & information 36. It is necessary to analyse normal Korean sentences for constructing a Korean se...Date2019.04.19 Views1709 -
No Image
조사 '에게'의 용법과 기능
게재지한글 제318호발표년2017종류 : 논문 게재지 : 한글 제318호 수록면 : 47-84 발행처 : 한글학회 간행일 : 2017. 12. * 국문 초록 국어의 조사는 오래 전부터 수많은 학자들에 의해 연구되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사의 용법과 기능을 둘러싼 논란은 아직도 끊이질 않는다. 이 글은 그동안의 조사 연구에서 드...Date2018.03.03 Views3305 -
지시어 '이, 그, 저'의 용법과 의미
게재지언어 41권 2호발표년2016종류 : 논문 게재지 : 언어 41권 2호 수록면 : 201-216 발행처 : 한국언어학회 간행일 : 2016. 6. 30. * 주요 내용 : * Abstract The Usage of Korean Demonstratives ‘i, geu, jeo’. Korean Journal of Linguistics, 41-2. The demonstratives in Korean (‘i, geu, jeo...Date2016.10.05 Views6683 -
국어의 특징과 국어 연구 방법론
게재지관악어문연구 제40집발표년2015종류 : 논문 게재지 : 관악어문연구 제40집. 수록면 :43-63. 발행처 :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간행일 : 2015. 12. 31. [ 주요 내용 ]Date2016.10.05 Views5423 -
「諺文字母」의 작성 주체와 시기에 대하여
게재지언어와 정보 사회 제22호발표년2014. 7종류 : 논문 게재지 : 언어와 정보 사회 제22호. 수록면 : 27-52. 발행처 : 서강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간행일 : 2014. 7. 30. <국문 초록> 「諺文字母」는 최세진이 편찬한 『훈몽자회』에 수록되어 있다. 그러나 「諺文字母」를 최세진이 직접 짓지는 않은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Date2014.07.30 Views7586 -
국어(문법)의 특징과 연구방법론
게재지국어연구회(발표 원고)발표년2014. 7제14회 국어연구회(2014년 7월 9일, 서울대학교)에서 발표한 원고입니다. 기존에 발표했던 논문에서 이미 언급한 내용들이 많이 들어있지만, 처음 다루어본 새로운 내용도 약간 포함되어있고, 무엇보다도 평소 생각만 해오던 '한-영' 번역이라는 연구 방법론을 구체적으로 적용해본 첫 시도(필자에게)라서...Date2014.07.10 Views8187 -
국어 문장의 구조와 특징
게재지개신어문연구 37발표년2013. 6종류 : 논문 게재지 : 개신어문연구 37 수록면 : 5-39 발행처 : 개신어문학회. 주요 내용 : (결론 부분 일부 발췌) 지금까지 논의한 내용을 일단 요약하여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16) 국어 문장의 구조와 특성 ㄱ. 국어 문장은 필수성분이 존재하지 않는다. ㄴ. 국어 문장은 문맥을...Date2013.08.19 Views14199 -
훈민정음 頒布와 관련한 몇 가지 문제
게재지개신어문연구 제35집발표년2012. 6종류 : 논문 제목(국문) : 훈민정음 頒布와 관련한 몇 가지 문제 제목(영문) : Several Issues on the Promulgation of Hunminjeongeum 게재지명 : 개신어문연구 Vol.35 발행처 : 개신어문학회 수록면 : 5-30(26쪽) 발행년도 : 2012년 주제어 : promulgation ,compilation ,publica...Date2012.09.04 Views10966 -
국어 문법과 主語
게재지개신어문연구 제33집발표년2011. 6.종류 : 논문 제목(국문) : 국어 문법과 主語 발행년도 : 2011. 6. ISSN : 1226-7406 발행기관 : 개신어문학회 주요 내용 : 국어 문법에 설정된 ‘주어’라는 개념은, 영어의 경우와는 달리, 그 實在 여부조차 확실하게 검증되지 않은 가설 수준에 불과하다. 그동안 수많은 학자들이 각종 논의에서 주어를 언급해 왔지만, 주...Date2011.07.26 Views118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