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강창석(姜昶錫, Kang Chang Seok)
◇ 소속 : 충북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교수
◇ 자택 : 청주시 청원구 오창읍 오창중앙로32 204동 402호
◇ 학교 : 인문사회관 58동 103호(☎ 043-261-2097)
◇ 전화 : 043-253-4877(자택), 010-4772-2097(HP)
◇ 팩스 : 043-272-7709(국문학과), 043-271-1523(인문대학)
◇ 홈페이지 : http://kang.chungbuk.ac.kr
◇ 전자우편 : cskang@chungbuk.ac.kr
☞ 학력 및 출신 사항>

- 1957.5 충남 논산군(論山郡) 가야곡면(可也谷面) 야촌리(野村里) 출생
- 1969.2 충남 논산 왕암국민학교(12회) 수료
- 1970.2 대전 오정(梧井)초등학교 졸업
- 1973.1 대전 보문(普文)중학교 졸업
- 1976.1 대전(大田)고등학교 (55회) 졸업
- 1976.3 서울대학교 인문대학(계열별 모집) 입학
- 1980.2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졸업
- 1982.2 서울대학교 대학원 문학석사(국어학) 학위 취득
- 1985.3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 국어국문학과 입학
- 1992.2 서울대학교 대학원 문학박사(국어학) 학위 취득
☞ 주요 경력 사항
- 1982.05 - 84.05 군 복무(육군, 주특기: 포병 測地, 만기 전역)
- 1984.06 - 84.12 학술원 어문연구위원회 맞춤법분과 전문위원
- 1985.03 - 88.09 울산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전임강사
- 1988.10 - 89.02 울산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조교수
- 1989.03 - 91.09 충북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조교수
- 1991.10 - 98.03 충북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부교수
- 1997.04 - 98.03 日本 天理大學 朝鮮學科 초빙교수
- 1998.04 - 현 재 충북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교수
☞ 전공 및 관심 분야
- 전공 분야: 국어음운론(Korean Phonology), 훈민정음(訓民正音)
- 관심 분야: 국어정보화, 어문정책, 국어문법이론 등
- 학회 활동: 국어학회, 한국어학회, 국어정보학회, 개신어문학회 등
- 취미 생활: 영화 감상, 화초 재배, 여행, 바둑, 낚시, 홈페이지 제작, 컴퓨터게임 등
- 존경 인물: 세종대왕, 주시경, 아래한글 개발자, 제로보드 제작자 등
☞ 학부/대학원 강의 과목
국어학개론 (1학년 2학기, 전공선택)
국어음운론 (2학년 1학기, 전공선택)
국어문자론 (2학년 2학기, 전공선택)
국어사(國語史) (3학년 1학기, 전공필수) ---- 학부
훈민정음 연구, 국어표기법연구, 국어연구방법론
전산국어학, 국어음운론특강 등 ---- 대학원
☞ 그밖의 이것저것 메모
본관 : 진주, 박사공파(통계공/군수공) 27세
가족 : 아내, 1남 1녀.
좋아하는 것 : 세상의 아름다운 것 (자연 경관, 동식물, 匠人, 잘 만든 예술작품)
번호 | 제목 | 게재지 | 발표년 | 날짜 | 조회 수 |
---|---|---|---|---|---|
» |
관리자(姜昶錫) 프로필(profile) 소개
[1] ![]() |
2012.02.26 | 36553 | ||
40 |
'하다'의 의미와 용법1
![]() ![]() |
언어와 정보 사회 41 | 2020 | 2020.12.08 | 289 |
39 |
국어 경어법의 본질과 체계
![]() ![]() |
언어와 정보 사회 | 2020 | 2020.11.12 | 379 |
38 |
국어의 생략현상에 대하여 1
![]() |
언어와 정보사회 36 | 2019 | 2019.04.19 | 2976 |
37 |
조사 '에게'의 용법과 기능
![]() ![]() |
한글 제318호 | 2017 | 2018.03.03 | 4482 |
36 |
지시어 '이, 그, 저'의 용법과 의미
![]() ![]() ![]() |
언어 41권 2호 | 2016 | 2016.10.05 | 9989 |
35 |
국어의 특징과 국어 연구 방법론
![]() ![]() |
관악어문연구 제40집 | 2015 | 2016.10.05 | 6829 |
34 |
「諺文字母」의 작성 주체와 시기에 대하여
![]() ![]() |
언어와 정보 사회 제22호 | 2014. 7 | 2014.07.30 | 8936 |
33 |
국어(문법)의 특징과 연구방법론
![]() ![]() |
국어연구회(발표 원고) | 2014. 7 | 2014.07.10 | 9601 |
32 |
국어 문장의 구조와 특징
![]() ![]() |
개신어문연구 37 | 2013. 6 | 2013.08.19 | 16117 |
31 |
훈민정음 頒布와 관련한 몇 가지 문제
![]() ![]() |
개신어문연구 제35집 | 2012. 6 | 2012.09.04 | 12212 |
아무래도 게시판이 페이지보다 문서 내용을 보충하거나 수정하기가 조금 더 용이하고, 지금 이 글처럼 댓글을 사용하여 피드백을 주고받을 수 있는 장점도 있는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