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발표년 | 2014. 7 |
---|---|
게재지 | 국어연구회(발표 원고) |
원문파일 | HWP |
제14회 국어연구회(2014년 7월 9일, 서울대학교)에서 발표한 원고입니다.
기존에 발표했던 논문에서 이미 언급한 내용들이 많이 들어있지만,
처음 다루어본 새로운 내용도 약간 포함되어있고, 무엇보다도 평소 생각만 해오던
'한-영' 번역이라는 연구 방법론을 구체적으로 적용해본 첫 시도(필자에게)라서
1회용 발표 원고로 쓰고 버리기에는 아깝다는 생각이 문득 들어서
미완성 원고이지만 여기에 올려 공개합니다..
정식 발표(논문)는 주제를 더 명확히 하고 내용을 많이 보충하고 다듬어서 할 예정입니다.
그 이전이라도 잘못된 부분에 대한 지적과 조언, 기대하고 환영합니다.
----
정식 논문이 아니고 발표 원고이다보니 연구사 검토나 참고문헌 작성 등에 거의 신경을
쓰지 않아서 원고 작성이 한결 수월했습니다.
논문 한 편 쓸 때마다 기존에 나온 선행연구들을 다 찾아서 읽어보고 주석이나
참고문헌 등에 반영해야 한다는 점이 점점 더 엄청난 부담으로 다가옵니다.
훈민정음처럼 기존 연구가 많은 주제의 경우, 참고문헌에 그걸 다 넣는다면, 그것만으로
제한된 원고 분량을 다 채우고도 모자랄 지경입니다.
논문이라는 것이 어차피 필자의 주장을 펼치는 것이 주 목적일진대,
기존 연구에 대한 언급은 최소한으로 하는 것이 좋지 않을까 생각을 해봅니다만...
논문심사 과정 등에서 '연구사에 대한 언급 부족'이나 '참고문헌 누락' 등을 심각한 결함으로
지적하는 경우를 많이 접하게 됩니다.
번호 | 제목 | 게재지 | 발표년 | 날짜 | 조회 수 |
---|---|---|---|---|---|
공지 |
관리자(姜昶錫) 프로필(profile) 소개
[1] ![]() |
2012.02.26 | 36504 | ||
40 |
'하다'의 의미와 용법1
![]() |
언어와 정보 사회 41 | 2020 | 2020.12.08 | 277 |
39 |
국어 경어법의 본질과 체계
![]() |
언어와 정보 사회 | 2020 | 2020.11.12 | 376 |
38 |
국어의 생략현상에 대하여 1
![]() |
언어와 정보사회 36 | 2019 | 2019.04.19 | 2959 |
37 |
조사 '에게'의 용법과 기능
![]() |
한글 제318호 | 2017 | 2018.03.03 | 4472 |
36 |
지시어 '이, 그, 저'의 용법과 의미
![]() ![]() |
언어 41권 2호 | 2016 | 2016.10.05 | 9916 |
35 |
국어의 특징과 국어 연구 방법론
![]() ![]() |
관악어문연구 제40집 | 2015 | 2016.10.05 | 6813 |
34 |
「諺文字母」의 작성 주체와 시기에 대하여
![]() ![]() |
언어와 정보 사회 제22호 | 2014. 7 | 2014.07.30 | 8924 |
» |
국어(문법)의 특징과 연구방법론
![]() ![]() |
국어연구회(발표 원고) | 2014. 7 | 2014.07.10 | 9583 |
32 |
국어 문장의 구조와 특징
![]() ![]() |
개신어문연구 37 | 2013. 6 | 2013.08.19 | 16099 |
31 |
훈민정음 頒布와 관련한 몇 가지 문제
![]() ![]() |
개신어문연구 제35집 | 2012. 6 | 2012.09.04 | 1219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