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발표년 | 2017 |
---|---|
게재지 | 한글 제318호 |
원문파일 |

게재지 : 한글 제318호
수록면 : 47-84
발행처 : 한글학회
간행일 : 2017. 12.
* 국문 초록
국어의 조사는 오래 전부터 수많은 학자들에 의해 연구되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사의 용법과 기능을 둘러싼 논란은 아직도 끊이질 않는다. 이 글은 그동안의 조사 연구에서 드러난 문제점과 그 원인을 진단하고 대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글의 주 논의 대상은 조사 ‘에게’이다. 그동안의 ‘에게’ 논의에서는 ‘유정물(有情物)’이라는 낯선 용어가 등장하고 조사 ‘에’와의 이형태 여부가 쟁점이 되는 등 다른 조사의 경우와는 다른 양상이 전개되어 왔다. 이 글에서는 그러한 현상이 몇 가지 잘못된 전제에서 비롯된 것임을 밝히고 있다.
조사 ‘에게’는 본래 단일형태소가 아니라 ‘의+그+에’라는 통사 구성이었다. 즉 현대국어에서는 하나의 조사로 쓰이고 있지만, 기능이나 의미에서는 예전의 통사 구성이 가졌던 속성을 거의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예컨대, ‘에게’는 동물 뒤에 주로 쓰이는데 이것은 속격조사 ‘-의’가 지녔던 속성을 그대로 물려받은 것이고, ‘~의 그것에’라는 본래 의미 역시 지금도 대부분의 용례에서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 따라서 ‘에게’는 ‘에’와 이형태 관계가 아니라 별개의 조사이며, 두 조사의 차이를 ‘유정물’과 ‘무정물’이라는 용어로 구분해야 할 필요도 없다.
‘에게’의 위치는 ‘명사 뒤’가 아니라 ‘명사와 동사 사이’로 규정되어야 한다. ‘에게’는 조사 ‘이/가’나 ‘을/를’ 등과 마찬가지로 선행 명사와 후행 동사를 하나의 단위로 묶어주는 연결고리 기능을 하며, 둘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준다.
.
* 전체 내용은 첨부파일 참조.
번호 | 제목 | 게재지 | 발표년 | 날짜 | 조회 수 |
---|---|---|---|---|---|
공지 |
관리자(姜昶錫) 프로필(profile) 소개
[1] ![]() |
2012.02.26 | 36504 | ||
40 |
'하다'의 의미와 용법1
![]() |
언어와 정보 사회 41 | 2020 | 2020.12.08 | 277 |
39 |
국어 경어법의 본질과 체계
![]() |
언어와 정보 사회 | 2020 | 2020.11.12 | 376 |
38 |
국어의 생략현상에 대하여 1
![]() |
언어와 정보사회 36 | 2019 | 2019.04.19 | 2960 |
» |
조사 '에게'의 용법과 기능
![]() |
한글 제318호 | 2017 | 2018.03.03 | 4472 |
36 |
지시어 '이, 그, 저'의 용법과 의미
![]() ![]() |
언어 41권 2호 | 2016 | 2016.10.05 | 9916 |
35 |
국어의 특징과 국어 연구 방법론
![]() ![]() |
관악어문연구 제40집 | 2015 | 2016.10.05 | 6813 |
34 |
「諺文字母」의 작성 주체와 시기에 대하여
![]() ![]() |
언어와 정보 사회 제22호 | 2014. 7 | 2014.07.30 | 8925 |
33 |
국어(문법)의 특징과 연구방법론
![]() ![]() |
국어연구회(발표 원고) | 2014. 7 | 2014.07.10 | 9584 |
32 |
국어 문장의 구조와 특징
![]() ![]() |
개신어문연구 37 | 2013. 6 | 2013.08.19 | 16099 |
31 |
훈민정음 頒布와 관련한 몇 가지 문제
![]() ![]() |
개신어문연구 제35집 | 2012. 6 | 2012.09.04 | 1219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