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발표년 | 1996 |
---|---|
게재지 | 새국어생활 6-2 |
원문파일 | PDF, HWP |

한글을 만드는 과정에서 적용된 여러 가지 이론과 방법들을 통칭해서 보통 ‘제자 원리’라고 부른다. 이 글에서 주로 말하게 될 내용이 바로 그 ‘제자 원리’에 관해서이다. ‘글자꼴’도 이 글에서 다루는 것으로 되어 있지만, 글자꼴을 결정한 원리나 글자꼴에 담겨진 내용이 곧 제자 원리이므로, 내용은 결국 한가지라고 볼 수 있다.
제자 원리는 아무 문자에서나 논의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한글에서만 논의가 가능하고 또 필요한 내용이다. 오랜 시일에 걸쳐, 기존의 문자가 변형되어 생겨난 다른 문자들의 경우에는 ‘제자 원리’라는 말 자체가 어울리지 않기 때문이다. 물론, ‘글자꼴’에 대해서는 다른 문자들의 경우에도 논의가 가능하고 또 필요할 수 있다. 그러나 그 내용은 역시 한글의 경우와 같을 수 없다. 한글의 ‘글자꼴’은 서로간에 구별만 되는 단순한 부호가 아니라, 그 모양 속에 여러 가지 이론과 정보를 담고 있는 의미있는 기호이기 때문이다.
한글의 제자 원리 즉 문자를 새로 만드는 과정에서 등장했던 여러 가지 이론과 방법들은 그 내용이 후대로 전해지지 못하였다. 제자 원리만 제대로 전해지지 못한 것이 아니라, 세종이 한글을 창제했다는 사실조차도 거의 잊혀진 채로 오랫동안 내려왔다. 그래서 금세기 초반까지도 한글 역시 기존의 다른 문자에서 나왔을 것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았다. 한글의 기원이라는 제목 아래 제기되었던 여러 가지 설들이 그것을 잘 말해 준다. 지금도 유사한 견해가 전혀 없다고는 말할 수 없다.
어쨌든, 한글의 경우에도 창제 사실을 모르거나 부정하면, 제자 원리라는 논제도 성립되지 않는다. 즉 제자 원리를 논하는 것은 과학적인 창제를 전제로 하는 것이며, 이 글에서도 그 점에 대해서는 별다른 이의가 없다. 현재로서는 창제 사실을 의심하거나 뒤집을 만한 근거가 거의 없다고 여겨지기 때문이다.
Files '3'
번호 | 제목 | 게재지 | 발표년 | 날짜 | 조회 수 |
---|---|---|---|---|---|
공지 |
관리자(姜昶錫) 프로필(profile) 소개
[1] ![]() |
2012.02.26 | 32970 | ||
28 |
국어학의 연구 동향 (음성학 및 음운론)
![]() ![]() |
국어학연감 1993 | 1994 | 2006.11.23 | 10849 |
27 |
한글과 한글 표기법 이론의 체계화에 대하여
![]() ![]() |
국어학 제25집 | 1995 | 2006.11.23 | 11019 |
26 |
훈민정음 연구의 성과와 과제
![]() ![]() |
광복50주년 국학의 성과 | 1996 | 2006.11.23 | 11686 |
» |
한글의 제자원리와 글자꼴
![]() ![]() |
새국어생활 6-2 | 1996 | 2006.11.23 | 13314 |
24 |
Han-gul and its Graphic Shapes (앞글 英譯文)
![]() ![]() |
21세기의 한글 | 1998 | 2006.11.23 | 10638 |
23 |
국어 음 연구와 번역 술어
![]() ![]() |
국어학의 번역술어 연구(Ⅱ) | 1996 | 2006.11.23 | 10307 |
22 |
한글맞춤법의 체제와 이론에 대하여
![]() ![]() |
오당조항근선생 화갑기념논총 | 1997 | 2006.11.23 | 10716 |
21 |
국어학의 연구 동향 - 국어 정책
![]() |
국어학연감 1999 | 1999 | 2006.11.23 | 10686 |
20 |
글자 이름 '한글'에 대하여
![]() ![]() |
개신어문연구 제17집 | 2000 | 2006.11.23 | 11796 |
19 |
국어 표기법 연구의 몇 가지 과제
![]() ![]() |
울산어문논집 제15집 | 2001 | 2006.11.23 | 1254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