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2.5. 모음(母音)의 분류
1) 모음은 자음과 달리 조음시에 공기의 흐름이 차단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조음위치나 조음방법이라는 분류기준은 성립되지 않는다.
2) 모음은 입술과 혀의 모양이나 상태에 따라 소리가 달라진다. 즉 입술의 모양과 혀의 상태가 모음의 분류기준이 된다.
ㄱ. 입술의 모양: 원순모음과 평순모음
* 국어의 원순모음: ㅗ,ㅜ,ㅚ,ㅟ
ㄴ. 혀의 상태
前後 위치: 전설/중설/후설모음으로 구분
高低 위치: 고모음/중모음/저모음 등으로 구분
* 15세기에는 설 축(縮)/소축(小縮)/불축(不縮) 으로 구분하였음.
3) 모음은 입을 벌린 정도 즉 개구도(開口度)에 따라 구분할 수도 있지만, 개구도와 혀의 고저 위치는 비례하므로 둘 중에 어느 하나만 사용하면 된다.
4) 모음삼각도/모음사각도
- 각 모음이 발음될 때의 혀의 위치를 조사해보면 삼각형이나 사각형 모양을 이룸.
** 국어의 모음사각도를 반드시 숙지할 것
2.6. 음절(音節)
- 音素보다 큰 音의 단위
- 동양(한국/중국/일본)에서는 전통적으로 음절을 음의 기본단위로 인식해왔으나 西洋의 경우에는 音素가 음의 기본 단위이다.<-- 동양과 서양의 문자 단위가 다르다.
- 우리는 음절을 아주 친숙한 단위로 생각하고 인식하기도 쉽지만, 서양인에게는 음절이 인식하기 어려운 단위임.
* 거꾸로 말하기 등 여러 가지 언어 유희를 보아도 동양의 경우에는 대개 음절 단위로 이루어지만, 서양의 경우에는 음소 단위로 이루어짐.
예) 산토끼 -> 끼토산, santokki -> ikkotnas
- 음의 최소 단위는 음소이지만, 발음의 최소 단위는 음절이다. 즉 자음만 따로 떼서 발음할 수는 없고 반드시 모음과 함께 즉 음절을 이룬 상태로만 발음할 수 있다.
●?Who's 강창석

번호 | 분류 | 제목 | 글쓴이 | 최근 수정일 | 날짜 | 조회 수 |
---|---|---|---|---|---|---|
공지 | 알림 | 2019년 1학기 [국어음운론] 기말고사 안내 | ![]() | 2019.06.05 | 2019.06.03 | 2289 |
공지 | 알림 | 2019년 1학기 [국어음운론] 3차 과제 안내 | ![]() | 2019.05.20 | 2019.05.20 | 2779 |
공지 | 기타 | 2019년 1학기 국어음운론 강의노트 | ![]() | 2019.03.04 | 2008.03.04 | 264338 |
공지 | 강의 | 2019년 1학기 [國語音韻論] 강의계획서 [1] | ![]() | 2019.03.04 | 2007.03.05 | 256122 |
공지 | 기타 |
국어음운론 강의 교재와 참고문헌
[1] ![]() |
![]() | 2018.03.04 | 2007.03.05 | 294782 |
77 | 알림 | 국어음운론 1차 과제물 작성 안내 | ![]() | 2008.02.27 | 2007.03.30 | 59959 |
76 | 알림 | 국어음운론 2차 과제물 작성 안내 [2] | ![]() | 2008.02.27 | 2007.03.30 | 61918 |
75 | 알림 | 국어음운론 중간고사 안내 | ![]() | 2008.02.27 | 2007.04.19 | 54634 |
74 | 참고 |
국제음성부호(I.P.A)
![]() ![]() |
![]() | 2011.03.18 | 2006.11.06 | 55877 |
73 | 참고 |
'파니니'와 '파니니문법서'
![]() ![]() |
![]() | 2011.02.28 | 2006.11.06 | 69155 |
72 | 강의 | 3월 8일 음운론 강의 내용 요약 | ![]() | 2008.02.27 | 2007.03.08 | 53703 |
71 | 강의 | 3월 13일 음운론 강의 내용 요약 [1] | ![]() | 2008.02.27 | 2007.03.13 | 60199 |
70 | 강의 | 3월 15일 음운론 강의 내용 요약 | ![]() | 2008.02.27 | 2007.03.15 | 49780 |
69 | 강의 | 3월 20일 음운론 강의 내용 | ![]() | 2008.02.27 | 2007.03.20 | 54910 |
68 | 강의 | 3월 22일 음운론 강의 내용 | ![]() | 2008.02.27 | 2007.03.22 | 47148 |
67 | 강의 | 3월 27일 국어음운론 강의 내용 | ![]() | 2008.02.27 | 2007.03.27 | 53667 |
66 | 강의 | 4월 3일 국어음운론 강의 내용 | ![]() | 2008.02.27 | 2007.04.04 | 56201 |
» | 강의 | 4월 10일 음운론 강의 내용 | ![]() | 2008.02.27 | 2007.04.11 | 53433 |
64 | 강의 | 4월 12일 음운론 강의 내용 | ![]() | 2008.02.27 | 2007.04.16 | 53510 |
63 | 강의 | 4월 17일 음운론 강의 내용 | ![]() | 2008.02.27 | 2007.04.19 | 67551 |
62 | 강의 | 4월 24일 음운론 강의 내용 | ![]() | 2008.02.27 | 2007.04.25 | 55630 |
61 | 참고 | 변형생성문법(transformational generative grammar) | ![]() | 2008.02.27 | 2007.05.01 | 69976 |
60 | 참고 | 구조주의 문법과 변형생성문법 | ![]() | 2008.02.27 | 2007.05.02 | 75476 |
59 | 강의 | 5월 1일 국어음운론 강의 내용 | ![]() | 2008.02.27 | 2007.05.02 | 55715 |
58 | 강의 | 5월 3일-8일 음운론 강의 내용 | ![]() | 2008.02.27 | 2007.05.09 | 6966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