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제 5장 음소
1. 音素의 정의
1) 음소는 음의 최소 단위이다.
2) 음의 최소 단위는 전통적으로 음성(phone)으로 지칭되어 왔다. 그런데 자연과학의 발달과 더불어 음성 연구가 활기를 띠면서 음성의 개념이 언어학의 범위나 성격을 벗어나게 되었다. 그래서 언어학의 관점에 적합한 音素(phoneme)라고 하는 새로운 용어(개념)가 등장하게 되었다.
3) 음운론은 이름 그대로 음운(음소)을 연구하는 학문(이론)이다. 그러므로 음소의 개념이 명확하게 설정(확립)되어야만 음운론의 학문적 성격도 명확해질 수 있다.
2. 음소에 대한 여러 가지 정의
1) 여러 학자들에 의해 다양한 정의가 제시되었다.(교재 참조)
2) 어떤 정의도 완벽하거나 전적으로 틀렸다고 말하기 어렵다.
3) 음소의 존재 자체가 분명하다면 개념 정의는 그다지 중요한 문제가 아닐 수도 있다.-> 완벽한 정의가 나오지 않았어도 음운론 연구는 이루어져 왔다.
4) 생성음운론이 등장하면서 음운현상의 분석이나 기술에서 ‘변별자질’이라는 개념이‘음소’를 대신하게 되었다 <- 음소를 변별적자질의 묶음으로 이해함.
제 6장 기술 음운론(구조주의 음운론)
1. 음운 분석
1) 서양 음운론의 음운 분석은 문장이나 단어를 바로 음의 최소 단위인 음소로 분석
* 중국이나 우리나라의 전통적 음 분석은 ‘음절’이라는 단위를 중심으로 해서 이루어짐.
중국: 음절을 성모(聲母)와 운모(韻母)로 분석 (반절법, 이분법)
훈민정음 이론: 음절을 초성, 중성, 종성으로 분석(음절의 삼분법)
2) 서양 음운 분석은 음소 목록을 작성하는 작업.
3) 서양의 음운 분석(음소 목록 작성) 방법론은 기본적으로 음성 목록을 먼저 작성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하여 음소 목록을 추리는 방식 <- 최선의 방법인지 의문
4) 음운 분석과 관련한 주요 개념
ㄱ. 분포(distribution): 어떤 음이 나타나는 위치(환경)
* 相補的(상보적) 분포: a가 나타나는 환경에서는 b가 절대 나타나지 않고, 반대로 b가 나타나는 환경에서는 a가 절대 나타나지 않는 경우 예) 국어의 [r]과 [l]
ㄴ. 기능(funtion): 어떤 소리가 단어(의미)를 분화시키는가?
* 최소대립쌍(minimal pairs): 어느 한 음의 차이만으로 변별되는 단어들의 묶음
예) 국어: 방, 빵, 망, 상, 강, 장 등
영어: pig, big, dig, mig, zig 등
●?Who's 강창석

번호 | 분류 | 제목 | 글쓴이 | 최근 수정일 | 날짜 | 조회 수 |
---|---|---|---|---|---|---|
공지 | 알림 | 2019년 1학기 [국어음운론] 기말고사 안내 | ![]() | 2019.06.05 | 2019.06.03 | 6464 |
공지 | 알림 | 2019년 1학기 [국어음운론] 3차 과제 안내 | ![]() | 2019.05.20 | 2019.05.20 | 6966 |
공지 | 기타 | 2019년 1학기 국어음운론 강의노트 | ![]() | 2019.03.04 | 2008.03.04 | 272580 |
공지 | 강의 | 2019년 1학기 [國語音韻論] 강의계획서 [1] | ![]() | 2019.03.04 | 2007.03.05 | 263817 |
공지 | 기타 |
국어음운론 강의 교재와 참고문헌
[1] ![]() |
![]() | 2018.03.04 | 2007.03.05 | 304200 |
74 | 알림 | 2013년 1학기 [국어음운론] 3차 과제 및 기말고사 안내 | ![]() | 2014.03.01 | 2013.05.26 | 109016 |
73 | 참고 | 구조주의 문법과 변형생성문법 | ![]() | 2008.02.27 | 2007.05.02 | 80241 |
72 | 알림 | 2014년 1학기 국어음운론 2차 과제 안내 | ![]() | 2015.02.28 | 2014.04.08 | 76799 |
71 | 알림 |
2009년 1학기 국어음운론 2차과제물 안내
![]() ![]() |
![]() | 2011.02.22 | 2009.04.07 | 74673 |
70 | 알림 | 2014년 1학기 [국어음운론] 중간고사 안내 | ![]() | 2015.02.28 | 2014.04.15 | 74459 |
69 | 강의 | 5월 3일-8일 음운론 강의 내용 | ![]() | 2008.02.27 | 2007.05.09 | 73981 |
68 | 알림 |
2010년 1학기 국어음운론 2차과제물 안내
![]() ![]() |
![]() | 2011.02.22 | 2010.04.08 | 73599 |
67 | 참고 | 변형생성문법(transformational generative grammar) | ![]() | 2008.02.27 | 2007.05.01 | 73202 |
66 | 참고 |
'파니니'와 '파니니문법서'
![]() ![]() |
![]() | 2011.02.28 | 2006.11.06 | 73030 |
65 | 알림 |
2008년 1학기 국어음운론 기말고사 안내
![]() ![]() |
![]() | 2012.04.17 | 2008.06.02 | 72912 |
64 | 알림 | 2013년 1학기 국어음운론 2차 과제물 안내 | ![]() | 2013.05.21 | 2013.04.09 | 72646 |
63 | 알림 | 2011. 1 국어음운론 기말고사 및 3차 과제 안내 | ![]() | 2011.09.29 | 2011.05.19 | 72357 |
» | 강의 | 4월 17일 음운론 강의 내용 | ![]() | 2008.02.27 | 2007.04.19 | 71743 |
61 | 참고 | 언어학의 창시자, 소쉬르 | 김지현 | 2010.03.07 | 2007.06.01 | 71664 |
60 | 알림 |
2011년 1학기 국어음운론 2차과제물 안내
![]() ![]() |
![]() | 2011.04.30 | 2011.04.04 | 71555 |
59 | 알림 | 2008년 1학기 國語音韻論 강의 안내 | ![]() | 2008.04.22 | 2008.02.11 | 70095 |
58 | 알림 | 2012. 1 국어음운론 3차 과제 및 기말고사 안내 | ![]() | 2013.02.25 | 2012.05.29 | 697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