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변형생성문법(transformational generative grammar)
* 네이버 백과사전의 내용입니다.
| ||||
|
![]() |
변형문법·생성문법이라고도 한다. 종래의 미국 구조언어학에서는 분석 대상의 언어가 실제 회화에서 사용된 언어, 즉 언어체(corpus)에 국한되었다. 이러한 이론을 체계화하여 변형생성문법의 기본 틀을 이루고 있는 이론이 발표된 것은 그의 《통사이론의 제양상:Aspects of the Theory of Syntax》(1965)에서였다. 이것은 나중에 표준이론으로 불리게 되는데, 문법의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이 크게 세 부분으로 나뉜다. 그후 이 이론은 크게 보아 두 갈래로 발전하게 된다. 변형규칙이 과연 의미를 변화시키지 않는가, 또 심층구조라는 것이 촘스키식의 통사구조가 아니고 의미구조가 아닐까 하는 등의 의문이 제기되면서, 확대표준이론으로 불리는 촘스키와 그의 제자 L.자켄도프의 이론은 의미해석을 심층구조와 표면구조에서 각각 해줌으로써 난점을 해결하려 하는 해석의미론(解析意味論)의 입장을 취하였고, |
●?Who's 강창석

번호 | 분류 | 제목 | 글쓴이 | 최근 수정일 | 날짜 | 조회 수 |
---|---|---|---|---|---|---|
공지 | 알림 | 2021년 1학기 [국어음운론] 중간고사 | ![]() | 2021.04.17 | 2021.04.17 | 131 |
공지 | 알림 | 2021년 1학기 [국어음운론] 줌(Zoom) 강의 안내 | ![]() | 2021.03.17 | 2021.02.17 | 2122 |
공지 | 기타 | 2021년 1학기 국어음운론 강의노트 | ![]() | 2021.02.25 | 2008.03.04 | 277673 |
공지 | 강의 | 2021년 1학기 [國語音韻論] 강의계획서 [1] | ![]() | 2021.02.16 | 2007.03.05 | 268702 |
공지 | 기타 |
국어음운론 강의 교재와 참고문헌
[1] ![]() |
![]() | 2021.02.25 | 2007.03.05 | 309561 |
7 | 참고 | 거꾸로 읽어도 같은 말이 되는 문장 [2] | ![]() | 2008.02.27 | 2007.11.12 | 56848 |
6 | 참고 | 언어학의 창시자, 소쉬르 | 김지현 | 2010.03.07 | 2007.06.01 | 73243 |
5 | 참고 | 소장문법학파 관련 자료 | ![]() | 2008.02.27 | 2007.06.01 | 70993 |
4 | 참고 | 구조주의 문법과 변형생성문법 | ![]() | 2008.02.27 | 2007.05.02 | 82138 |
» | 참고 | 변형생성문법(transformational generative grammar) | ![]() | 2008.02.27 | 2007.05.01 | 74725 |
2 | 참고 |
'파니니'와 '파니니문법서'
![]() ![]() |
![]() | 2011.02.28 | 2006.11.06 | 74772 |
1 | 참고 |
국제음성부호(I.P.A)
![]() ![]() |
![]() | 2011.03.18 | 2006.11.06 | 6188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