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陋見
2006.10.23 14:30
기라성(綺羅星)은 일본어
(*.82.255.105) 댓글 0조회 수 22122추천 수 0
우리는 뛰어난 인물에 대해 말할 때 흔히 "기라성같은 인재들"이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여기서 "기라성"이란 밤하늘에 빛나는 수많은 별들을 가리키는데, 이 말은 우리 고유어나 한자어가 아니다.
얼핏 보면, 기라성(綺羅星)이라고 한자로 표기하기 때문에 이 말을 한자어로 생각하기 쉽지만, 綺羅星은 'きらぼし'라는 일본어를, 우리의 吏讀처럼, 한자의 音과 새김(訓)을 이용하여 표기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
서울이라는 우리말을 漢字나 로마자로 적는다고 해서 그것이 한자어나 영어가 될 수는 없다. 마찬가지로, 한자로 표기한다고 해서 모두 한자어는 아니다. 일본어의 경우는 그런 점에서 특히 주의를 요한다.
일본은 아직도 한자 위주의 문자 생활(우리의 이두식 표기와 유사)을 한다. 따라서 그들은 한자어만이 아니라 그들의 고유어조차도 대부분 한자로 표기한다.
'綺羅星'과 같은 그런 단어들을 우리가 똑같은 한자로 쓰고 음만 우리식으로 읽어 한자어처럼 쓰는 것은 옳지 않다. '샛별'이나 '뭇별' 같은 우리말 단어를 쓰는 것이 좋을 것이다.
◈ 참고 사항 ◈
일본어의 '기라(きら)'는 '반짝이다'는 뜻이다.
우리말의 '반짝반짝'에 해당하는 일본어는 'きらきら'이다.
●?Who's 강창석

국어 관련 記事와 칼럼 일간지 등에 발표된 국어 관련 기사와 칼럼입니다.
번호 | 분류 | 제목 | 필자 | 날짜 | 조회 수 |
---|---|---|---|---|---|
8 | 陋見 |
찌아찌아족의 한글 사용 뉴스를 보며
[14] ![]() ![]() |
강창석 | 2009.09.14 | 35559 |
7 | 陋見 |
한글 맞춤법 이야기
![]() ![]() |
강창석 | 2008.03.31 | 24684 |
6 | 陋見 |
중국과 漢字 그리고 외래어
![]() ![]() |
강창석 | 2006.11.10 | 21653 |
» | 陋見 |
기라성(綺羅星)은 일본어
![]() ![]() |
2006.10.23 | 22122 | |
4 | 陋見 |
'선생'과 '교수'의 차이
[1] ![]() ![]() |
강창석 | 2006.10.15 | 21119 |
3 | 陋見 |
십팔번(十八番) 의 유래
![]() ![]() |
2006.10.15 | 20125 | |
2 | 陋見 |
인터넷 시대의 올바른 문자생활
[4] ![]() ![]() |
강창석 | 2006.10.29 | 18357 |
1 | 陋見 |
한글날을 바르게 알고 제대로 기념하자
[1] ![]() ![]() |
강창석 | 2006.10.29 | 1908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