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陋見
2008.03.31 20:03
한글 맞춤법 이야기
(*.82.255.105) 댓글 0조회 수 24646추천 수 0
필자 | 강창석 |
---|

위에 말한 두 가지 규정은 처음부터 그랬던 것이 아니고 1988년에 맞춤법을 개정하면서 규정이 바뀐 것이다. 즉 그 이전까지는 '홍 길동'처럼 성과 이름은 무조건 띄어쓰고 '내과'도 '냇과'로 적게끔 규정이 되어 있었다.
그러면 두 가지의 맞춤법 규정이 바뀐 이유는 무엇인가? 예전 규정이 원리적으로 무슨 문제가 있었기 때문인가? 그러나 그렇지는 않다. 맞춤법 규정을 바꾼 이유는 일반 사용자들이 본래의 규정을 잘 지키지 않았기 때문이다. 즉 맞춤법이 바뀌기 전에도 많은 사람들이 규정을 무시하고 성과 이름을 붙여쓰고 한자어에는 사이시옷을 잘 쓰지 않는 경향을 보여왔는데, 맞춤법의 개정으로 그것을 추인한 것이다..
만약 그 당시 맞춤법 개정을 주도했던 국어학자들이 전통이나 문법이론만을 앞세워 예전 규정의 준수만을 고집했다면 결과는 어땠을까? 아마 대부분의 국민들이 범법자(맞춤법도 법이니까)의 오명을 쓰고 살아야 했을 것이다. 즉 당시 맞춤법 개정을 주도한 학자들이 전문적인 이론보다 다수 사용자들의 실제 반응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여 그것을 수용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많은 국민을 범법자의 오명에서 벗어나게 한 것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길이 아닌 곳(예컨대 잔디밭 등)으로 사람들이 다니면 그것을 무조건 막으려고 한다. 즉 멀쩡한 길을 두고 왜 그리로 다니냐며 분개하고 철조망을 치거나 벌금을 물릴 생각부터 한다. 그러나 한두 명이 아니고 다수의 사람들이 그런다면 거기에는 나름대로 이유가 있다. 그래서 그 점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람은 무조건 막는 대신에 거기에 아예 길을 만들어주는 방법을 생각한다. 맞춤법 개정 당시에 그것을 주도한 분의 논리가 바로 그런 것이었고, 그 덕분에 우리는 범법자의 오명을 뒤집어 쓰지 않게 되었다.
●?Who's 강창석

국어 관련 記事와 칼럼 일간지 등에 발표된 국어 관련 기사와 칼럼입니다.
번호 | 분류 | 제목 | 필자 | 날짜 | 조회 수 |
---|---|---|---|---|---|
8 | 陋見 |
찌아찌아족의 한글 사용 뉴스를 보며
[14] ![]() ![]() |
강창석 | 2009.09.14 | 35527 |
» | 陋見 |
한글 맞춤법 이야기
![]() ![]() |
강창석 | 2008.03.31 | 24646 |
6 | 陋見 |
중국과 漢字 그리고 외래어
![]() ![]() |
강창석 | 2006.11.10 | 21624 |
5 | 陋見 |
기라성(綺羅星)은 일본어
![]() ![]() |
2006.10.23 | 22091 | |
4 | 陋見 |
'선생'과 '교수'의 차이
[1] ![]() ![]() |
강창석 | 2006.10.15 | 21093 |
3 | 陋見 |
십팔번(十八番) 의 유래
![]() ![]() |
2006.10.15 | 20090 | |
2 | 陋見 |
인터넷 시대의 올바른 문자생활
[4] ![]() ![]() |
강창석 | 2006.10.29 | 18343 |
1 | 陋見 |
한글날을 바르게 알고 제대로 기념하자
[1] ![]() ![]() |
강창석 | 2006.10.29 | 1905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