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부모에 대한 호칭어·지칭어
원문 출처 | http://새국어소식 제8호(1999.3.) |
---|---|
필자 | 정호성 |
- 새국어소식 제8호(1999.3.) 정호성(鄭虎聲)
누구나 이 세상에서 가장 귀중한 사람은 자기 부모일 것이다. 그렇기에 누구나 자기 부모를 최고로 높여 부르기를 주저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국어에서 부모를 올바로 부르고(호칭) 가리키는(지칭)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
살아 계신 부모에게는 ‘-님’ 자를 안 붙여 |
흔히들 자기 부모를 이를 때 ‘아버님, 어머님’과 같이 ‘-님’ 자를 붙여 높이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이는 존대가 지나쳐 잘못 사용한 것이다. 편지 글을 제외하고는 살아 계신 자기 부모를 호칭하거나 지칭할 때는 ‘-님’ 자를 붙이지 않는 것이 표준 화법이다. 그러므로 위의 경우는 ‘아버지, 어머니’를 써야 한다.
한편, 남의 부모를 높여 이르거나 돌아가신 자기 부모를 지칭할 때, 그리고 며느리나 사위가 시부모나 처부모를 부를 때는 ‘아버님, 어머님’을 써야 한다. 그러므로 남의 부모를 높여 이를 때는 “너희 아버님께서는 건강하시니?”, “철수 어머님, 안녕하세요?”와 같이 ‘-님’ 자를 붙여야 언어 예절에 맞는 표현이 된다. 돌아가신 아버지를 어머니와 조부모께 지칭할 때는 살아 계실 때와 같이 ‘아버지’라 하고, 그 밖에는 상황에 따라 ‘아버님, 아버지’로 지칭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돌아가신 어머니를 아버지와 조부모께 지칭할 때는 ‘어머니’라 이르고, 그 밖에는 상황에 따라 ‘어머님, 어머니’를 사용할 수 있다. |
‘선(先)-’ 자는 돌아가신 부모를 지칭해 |
한편, 한자에 익숙하지 못한 젊은 세대들은 “이번 주 토요일에 저희 선친의 환갑 잔치가 있습니다”와 같이 살아 계신 자기 아버지를 ‘선친’이라고 말하는 경우가 있다. ‘선친(先親)’은 ‘돌아가신 자기 아버지’를 지칭하는 말이므로 이렇게 말하면 살아 계시는 자기 아버지에게 큰 결례이다. |
생존 여부 | 대 상 | 자기 부모 | 남의 부모 |
---|---|---|---|
살아 계시는 경우 | 아버지 | 아버지 가친(家親), 부친(父親), 엄친(嚴親) |
아버지, 아버님 춘부장(春府丈/椿府丈) |
어머니 | 어머니 모친(母親), 자친(慈親) |
어머니, 어머님 자당(慈堂) | |
돌아가신 경우 | 아버지 | 아버지, 아버님 선고(先考), 선군(先君), 선친(先親) |
아버지, 아버님 선대인(先大人) |
어머니 |
어머니, 어머님 선비(先 ), 선자(先慈) |
어머니, 어머님 선대부인(先大夫人) |
●?Who's 강창석

국어 관련 記事와 칼럼 일간지 등에 발표된 국어 관련 기사와 칼럼입니다.
번호 | 분류 | 제목 | 필자 | 날짜 | 조회 수 |
---|---|---|---|---|---|
28 | 칼럼 |
[여적] 만두
[1] ![]() |
윤흥인 | 2008.01.22 | 18622 |
27 | 칼럼 | 한글과 기계화 | 이기문 | 2006.10.29 | 18414 |
26 | 칼럼 |
'누리꾼'을 통해 본 우리말 다듬기
![]() ![]() |
이대성 | 2008.12.01 | 30471 |
25 | 칼럼 |
세련된 영어, 정중한 한자어, 초라한 국어
![]() |
이대성 | 2008.12.28 | 31561 |
24 | 칼럼 | 한글 자모의 배열 순서 | 이승재 | 2006.10.12 | 24199 |
23 | 칼럼 | 한글의 자랑스러운 개성 [1] | 이익섭 | 2006.10.29 | 19185 |
22 | 칼럼 | 단일어 민족의 행복 | 이익섭 | 2006.10.29 | 17325 |
21 | 칼럼 | '철면피(鐵面皮)'와 '사이비(似而非)' | 이준석 | 2007.12.16 | 22014 |
20 | 칼럼 | '형이상학(形而上學)'과 '형이하학(形而下學)' | 이준석 | 2007.12.16 | 26890 |
19 | 칼럼 |
일상 속의 바둑 용어
![]() ![]() |
이홍렬 | 2016.03.07 | 13445 |
18 | 칼럼 | 쉽게 한글 맞춤법과 사귀는 길 | 임동훈 | 2007.12.18 | 18464 |
17 | 칼럼 |
북한말_‘살밭다’, ‘어린 봄날’
![]() |
전수태 | 2007.12.20 | 21775 |
16 | 칼럼 | 소위 북한의 나라꽃 ‘목란’ | 전수태 | 2007.12.20 | 23390 |
15 | 칼럼 |
영어 교육보다 급한 것(한국일보)
![]() |
정유성 | 2008.02.09 | 17944 |
» | 칼럼 | 부모에 대한 호칭어·지칭어 | 정호성 | 2006.10.23 | 18885 |
13 | 칼럼 | ‘서울’의 중국어 표기 | 정희원 | 2008.01.16 | 23524 |
12 | 기타 | 나는 왜 한글專用(전용)에서 벗어나게 되었는가? [1] | 조갑제 | 2009.06.30 | 30747 |
11 | 칼럼 | 한글날의 유래와 변천 | 조남호 | 2006.10.12 | 18568 |
10 | 칼럼 | '얼짱'은 사전에 오를 수 없다 | 조남호 | 2008.10.20 | 30875 |
9 | 기사 |
中·日 자존심 건 ‘언어 전쟁’
![]() |
조선일보 | 2007.01.10 | 1937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