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쉽게 한글 맞춤법과 사귀는 길
원문 출처 | http://www.korean.go.kr/nkview/news/8/33.htm |
---|---|
필자 | 임동훈 |
임동훈 국립국어연구원
한글 맞춤법이 어렵다고 한다. 왜 우리말은 이리도 어려우냐고도 한다. 실제로 맞춤법에 정확히 맞게 문자 생활을 하는 일은 그리 쉽지 않다. 예컨대 농구에서 선수가 공을 던져 바스켓 안에 집어 넣는 비율을 ‘슛율’이라고 적을지 ‘슛률’이라고 적을지 판단키 어렵다. 또 ‘책을 집어 던지다’처럼 띄어 써야 할지 ‘책을 집어던지다’처럼 붙여 써야 할지도 사전이 없으면 판단키 어렵다.
그러나 문자 생활에서 이런 정도의 어려움은 어느 언어에나 있다. 수년 전 미국의 어느 부통령은 ‘tomato’를 ‘tomatoe’라고 써서 말밥에 오른 적이 있고, 영어사전에서는 ‘database’처럼 붙여 쓰기도 하고 ‘data base’처럼 띄어 쓰기도 하여 띄어쓰기 역시 쉽지 않다. 또 ‘Kansas’는 ‘캔자스’라고 읽지만 그 앞에 ‘ar’이 붙은 ‘Arkansas’는 ‘아칸소’라고 읽어서 읽기는 더욱 어렵다.
그런데 왜 우리는 한글 맞춤법만 어렵다고 할까? 한글 맞춤법은 한국인이 한국어로 문자 생활을 하는 데 필수적인 지식임에도 대부분의 한국인들은 초등학교에서 대학교에 이르는 동안 이를 체계적으로 교육받은 경험이 별로 없다. 게다가 우리에게는 한글 맞춤법의 내용이 구체화되어 있는, 그리하여 문자 생활에 표준을 제공해 줄 수 있는 좋은 사전도 드물다. 이러니 한글 맞춤법이 어렵다는 일반인들의 불평도 그리 근거 없지는 않아 보인다.
그렇다면 앞으로 우리가 할 일은 무엇인가? 첫째는 한글 맞춤법에 대한 쉽고 정확한 해설서를 만들어 이를 학교 교육에서 가르치도록 하는 일이다. 한글 맞춤법은 문자 생활의 바탕이 될뿐더러 그 원리를 알면 문자 생활에 작용하는 많은 규정들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예컨대 밥을 먹은 뒤에 그릇을 씻어 치우는 일은 ‘설겆이’가 아니라 ‘설거지’라고 적는데 이는 ‘설겆다’라는 말이 없어 소리와 달리 ‘설겆이’로 적을 이유(즉 ‘설겆이’로 적는 것이 뜻을 파악하기 쉽다든지 하는 따위)가 없기 때문이다.
둘째는 한글 맞춤법이 구체화되어, 국민들의 문자 생활에 표준을 제공할 수 있는 사전을 만드는 일이다. 그리하여 일반인들은 사전만 찾아보아도 맞춤법, 띄어쓰기, 표준어 여부 등을 정확히 알 수 있게 해야 한다. 우리도 이제는 이처럼 권위 있는 사전을 가진 문명국의 국민이 되어 한글 맞춤법이 어렵다는 불평을 거둬들이고 사전과 더불어 행복한 문자 생활을 영위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
× ○
설겆이 → 설거지
더우기 → 더욱이
일찌기 → 일찍이
오뚜기 → 오뚝이
●?Who's 강창석

국어 관련 記事와 칼럼 일간지 등에 발표된 국어 관련 기사와 칼럼입니다.
번호 | 분류 | 제목 | 필자 | 날짜 | 조회 수 |
---|---|---|---|---|---|
28 | 칼럼 |
[여적] 만두
[1] ![]() |
윤흥인 | 2008.01.22 | 18622 |
27 | 칼럼 | 한글과 기계화 | 이기문 | 2006.10.29 | 18414 |
26 | 칼럼 |
'누리꾼'을 통해 본 우리말 다듬기
![]() ![]() |
이대성 | 2008.12.01 | 30470 |
25 | 칼럼 |
세련된 영어, 정중한 한자어, 초라한 국어
![]() |
이대성 | 2008.12.28 | 31561 |
24 | 칼럼 | 한글 자모의 배열 순서 | 이승재 | 2006.10.12 | 24199 |
23 | 칼럼 | 한글의 자랑스러운 개성 [1] | 이익섭 | 2006.10.29 | 19185 |
22 | 칼럼 | 단일어 민족의 행복 | 이익섭 | 2006.10.29 | 17325 |
21 | 칼럼 | '철면피(鐵面皮)'와 '사이비(似而非)' | 이준석 | 2007.12.16 | 22013 |
20 | 칼럼 | '형이상학(形而上學)'과 '형이하학(形而下學)' | 이준석 | 2007.12.16 | 26890 |
19 | 칼럼 |
일상 속의 바둑 용어
![]() ![]() |
이홍렬 | 2016.03.07 | 13444 |
» | 칼럼 | 쉽게 한글 맞춤법과 사귀는 길 | 임동훈 | 2007.12.18 | 18463 |
17 | 칼럼 |
북한말_‘살밭다’, ‘어린 봄날’
![]() |
전수태 | 2007.12.20 | 21775 |
16 | 칼럼 | 소위 북한의 나라꽃 ‘목란’ | 전수태 | 2007.12.20 | 23389 |
15 | 칼럼 |
영어 교육보다 급한 것(한국일보)
![]() |
정유성 | 2008.02.09 | 17944 |
14 | 칼럼 | 부모에 대한 호칭어·지칭어 | 정호성 | 2006.10.23 | 18885 |
13 | 칼럼 | ‘서울’의 중국어 표기 | 정희원 | 2008.01.16 | 23524 |
12 | 기타 | 나는 왜 한글專用(전용)에서 벗어나게 되었는가? [1] | 조갑제 | 2009.06.30 | 30746 |
11 | 칼럼 | 한글날의 유래와 변천 | 조남호 | 2006.10.12 | 18568 |
10 | 칼럼 | '얼짱'은 사전에 오를 수 없다 | 조남호 | 2008.10.20 | 30875 |
9 | 기사 |
中·日 자존심 건 ‘언어 전쟁’
![]() |
조선일보 | 2007.01.10 | 1937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