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기사
2014.05.14 10:16
'갈비탕'→'Short Rib Soup'…한식명 번역표준안 확정
(*.255.86.132) 댓글 0조회 수 22932추천 수 1
원문 출처 | http://news1.kr/articles/1673645 |
---|
국립국어원, "우리말 충실히 번역…관용적 표기는 그대로"
(서울=뉴스1) 박태정 기자 = 국립국어원은 200가지 주요 한식 명칭에 대한 영·중·일 3개 국어 번역 표준안을 확정했다고 14일 밝혔다.
국어원은 지난해 문화체육관광부와 농림축산식품부가 체결한 업무협정에 따라 번역 전문가와 원어민의 의견을 바탕으로 시안을 마련한 후 국민 의견을 수렴해 한식명 표준 번역안을 만들었다.
한식명 번역 표준안은 상차림, 밥, 죽, 면, 국·탕, 찌게, 전골, 찜, 조림, 볶음, 구이, 전·튀김, 회, 김치, 장·짱아치, 젓갈, 반찬, 떡, 한과, 음청류 등 20개 대분류로 외국인이 한국에서 접하기 쉬운 음식을 번역했다.
번역 표준안은 우리말 명칭을 충실히 번역하되 관용적 표기는 그대로 반영하는 것을 기본 원칙으로 삼았다.
예를 들어 일본어 표준 번역에서 '잡채', '삼겹살' 등 우리말 명칭으로 알리고자 하는 한식명은 우리말 원음대로 'チャプチェ'(쟈부재), 'サムギョプサル'(사무겨부사르)로 표기했다.
'김밥'은 로마자 표기와 영어 번역 모두 'Gimbap'으로, 일본어 번역은 원음을 옮긴 'キンパプ(긴파푸)로 표기하고 중국어 번역은 뜻을 옮긴 '紫菜卷'(즈차이주안판)로 정했다.
'비빔밥'도 로마자 표기와 영어 번역은 'Bibimbap'으로, 일본어 번역은 'ビビンバ'(비빈바)로 하고 중국어 번역은 뜻을 담은 '拌'(반판)으로 옮겼다.
'갈비탕'과 '감자탕'은 일본 번역은 각각 원음을 살린 'カルビタン'(가루비탄), 'カムジャタン'(가무쟈탄)로 정했지만 영어와 중국어 번역은 'Short Rib Soup'와 'Pork Back-bone Stew', '牛排骨'와 '脊骨土豆'로 뜻을 살렸다.
다만 대표 음식인 '김치'의 중국 명칭은 중국 현지에서 통용되는 '泡菜'(파오차이)가 절임음식을 의미하므로 발효음식인 김치를 나타내는 데 적절하지 않고 농식품부에서 개발한 '辛奇'(신치)는 중국 내 파급력이 충분히 검증되지 않아 추가적인 검토와 검증을 거친 후 확정하기로 했다.

국어원은 지난해 문화체육관광부와 농림축산식품부가 체결한 업무협정에 따라 번역 전문가와 원어민의 의견을 바탕으로 시안을 마련한 후 국민 의견을 수렴해 한식명 표준 번역안을 만들었다.
한식명 번역 표준안은 상차림, 밥, 죽, 면, 국·탕, 찌게, 전골, 찜, 조림, 볶음, 구이, 전·튀김, 회, 김치, 장·짱아치, 젓갈, 반찬, 떡, 한과, 음청류 등 20개 대분류로 외국인이 한국에서 접하기 쉬운 음식을 번역했다.
번역 표준안은 우리말 명칭을 충실히 번역하되 관용적 표기는 그대로 반영하는 것을 기본 원칙으로 삼았다.
예를 들어 일본어 표준 번역에서 '잡채', '삼겹살' 등 우리말 명칭으로 알리고자 하는 한식명은 우리말 원음대로 'チャプチェ'(쟈부재), 'サムギョプサル'(사무겨부사르)로 표기했다.
'김밥'은 로마자 표기와 영어 번역 모두 'Gimbap'으로, 일본어 번역은 원음을 옮긴 'キンパプ(긴파푸)로 표기하고 중국어 번역은 뜻을 옮긴 '紫菜卷'(즈차이주안판)로 정했다.
'비빔밥'도 로마자 표기와 영어 번역은 'Bibimbap'으로, 일본어 번역은 'ビビンバ'(비빈바)로 하고 중국어 번역은 뜻을 담은 '拌'(반판)으로 옮겼다.
'갈비탕'과 '감자탕'은 일본 번역은 각각 원음을 살린 'カルビタン'(가루비탄), 'カムジャタン'(가무쟈탄)로 정했지만 영어와 중국어 번역은 'Short Rib Soup'와 'Pork Back-bone Stew', '牛排骨'와 '脊骨土豆'로 뜻을 살렸다.
다만 대표 음식인 '김치'의 중국 명칭은 중국 현지에서 통용되는 '泡菜'(파오차이)가 절임음식을 의미하므로 발효음식인 김치를 나타내는 데 적절하지 않고 농식품부에서 개발한 '辛奇'(신치)는 중국 내 파급력이 충분히 검증되지 않아 추가적인 검토와 검증을 거친 후 확정하기로 했다.
●?Who's 강창석

국어 관련 記事와 칼럼 일간지 등에 발표된 국어 관련 기사와 칼럼입니다.
번호 | 분류 | 제목 | 필자 | 날짜 | 조회 수 |
---|---|---|---|---|---|
25 | 기사 | "영어마을? 한글마을에 투자 좀 하시죠" | 2006.10.04 | 16140 | |
» | 기사 |
'갈비탕'→'Short Rib Soup'…한식명 번역표준안 확정
![]() |
2014.05.14 | 22932 | |
23 | 기사 | '국어`로서의 일본어는 근대가 상상한 이미지 | 연합뉴스 | 2006.10.25 | 19442 |
22 | 기사 |
[NIE] 처음 수출한 한글, 세계 공용문자 될까
[1] ![]() ![]() |
중앙일보 | 2009.09.11 | 35057 |
21 | 기사 |
中·日 자존심 건 ‘언어 전쟁’
![]() |
조선일보 | 2007.01.10 | 19422 |
20 | 기사 | 국립국어원, (주)엠파스와 업무 협정 체결 | 2006.10.01 | 15991 | |
19 | 기사 | 나라 밖에서 한국어를 배우는 사람들 | 2006.10.02 | 16834 | |
18 | 기사 |
말이 안되는 우리 국어 실력
![]() |
조선일보 | 2008.07.03 | 23619 |
17 | 기사 | 세종은 한글을 창제하지 않았다? | 연합뉴스 | 2006.10.02 | 17748 |
16 | 기사 | 아시아에 불고 있는 한국어 열풍 | 연합뉴스 | 2006.10.06 | 18923 |
15 | 기사 |
외국어에 중독된 한국(1)성채와 궁전에 사는 한국인
[1] ![]() ![]() |
김어진 | 2009.09.14 | 29694 |
14 | 기사 | 요르단대학 한국어과 `한류 3총사`가 열었다 | 중앙일보 | 2006.10.25 | 20164 |
13 | 기사 |
웃기는 한국어 교재
![]() ![]() |
2008.09.26 | 17146 | |
12 | 기사 |
유엔, 중국문자 ‘간체자’로 통일
![]() |
2006.11.26 | 17265 | |
11 | 기사 | 일본 로마자 성명 표기… 성-이름 순서로 바꾼다 | 2019.09.24 | 4204 | |
10 | 기사 | 일본 젊은이들이 제대로 된 존댓말을 처음 배우는 곳은? | 2006.10.04 | 16723 | |
9 | 기사 | 전 세계에 부는 '한국어 바람' | 세계일보 | 2009.04.13 | 30747 |
8 | 기사 | 정조 본명은 `이산` 아닌 `이셩` | 연합뉴스 | 2008.02.01 | 18334 |
7 | 기사 | 중국 남북 `언어 전쟁` | 중앙일보 | 2007.01.17 | 21038 |
6 | 기사 | 표준국어대사전 2008년부터 '웹사전'으로만 발간 | 연합뉴스 | 2006.10.10 | 205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