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중국과 漢字 그리고 외래어
필자 | 강창석 |
---|
중국과 漢字 그리고 외래어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단어 ‘버스, 택시, 피아노’ 등은 영어에서 들어온 외래어이다. 이런 말들은 거의 세계 공통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데, 유독 중국에서만은 이들 단어를 사용하지 않고 ‘公共汽車, 出租汽车, 钢琴’등으로 새로운 말을 만들어 쓴다.
이와 같은 현상을 두고 많은 사람들은 중국인의 주체적인 의식 즉 되도록 외래어를 쓰지 않고 중국어를 쓰려는 정신에서 그 원인을 찾으려고 한다. 그러나 내 생각은 그렇지 않다. 중국인들은 '버스' 등의 외래어를 안 쓰는 것이 아니라 못 쓰는 것이고, 그 원인은 한자의 특성에 있다고 생각한다.
漢字는 소리글자(표음문자)인 한글이나 로마자와는 달리 뜻글자(표의문자)이다. 중국인들이 ‘버스’라는 단어를 사용하려면 한자로 표기해야 하고, 그러려면 한자를 새로 만들어야 한다. 따라서 지금도 가뜩이나 수가 많은 한자를 새로 만드느니 기존의 글자로 단어를 새로 만드는 편이 낫다는 결론이 나올 수밖에 없는 것이다.
물론, 중국에서도 어쩔 수 없이 외래어를 쓸 수밖에 없는 경우가 있다. 바로 고유명사의 경우이다. ‘맥도널드’나 ‘까르푸’ 같은 상호나 인명 등은 고유한 것이므로 중국에서도 다른 단어로 바꾸지 않고 그대로 사용하며 당연히 한자로 표기한다. 이들 고유명사를 한자로 어떻게 표기하는지 그 원리를 제대로 알면 외래어를 받아들이기 힘든 중국의 사정도 제대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중국의 외래어 표기 실례를 몇 가지 보기로 한다.
1. 까르푸(Carrefour): 家樂福 (상단 그림)
3. 코카콜라(Coca cola): 可口可樂
●?Who's 강창석

국어 관련 記事와 칼럼 일간지 등에 발표된 국어 관련 기사와 칼럼입니다.
번호 | 분류 | 제목 | 필자 | 날짜 | 조회 수 |
---|---|---|---|---|---|
8 | 陋見 |
인터넷 시대의 올바른 문자생활
[4] ![]() ![]() |
강창석 | 2006.10.29 | 17769 |
7 | 陋見 |
한글날을 바르게 알고 제대로 기념하자
[1] ![]() ![]() |
강창석 | 2006.10.29 | 18470 |
6 | 陋見 |
십팔번(十八番) 의 유래
![]() ![]() |
2006.10.15 | 19624 | |
5 | 陋見 |
'선생'과 '교수'의 차이
[1] ![]() ![]() |
강창석 | 2006.10.15 | 20519 |
» | 陋見 |
중국과 漢字 그리고 외래어
![]() ![]() |
강창석 | 2006.11.10 | 21081 |
3 | 陋見 |
기라성(綺羅星)은 일본어
![]() ![]() |
2006.10.23 | 21503 | |
2 | 陋見 |
한글 맞춤법 이야기
![]() ![]() |
강창석 | 2008.03.31 | 24061 |
1 | 陋見 |
찌아찌아족의 한글 사용 뉴스를 보며
[14] ![]() ![]() |
강창석 | 2009.09.14 | 348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