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두 소론 |
漢字·漢字語 問題 ........................................................................ |
金亨奎 |
특집 : 국어 속의 한자어 |
한국 한자음의 모태와 변천 ............................................................ |
박병채 |
한자어의 기원적 계보 .................................................................. |
이강로 |
한자어의 구조와 그 조어력 ............................................................ |
沈在箕 |
固有語의 漢字語化 過程 .................................................................. |
成煥甲 |
한자말을 토박이말로 맞옮기는 데에 따르는 문제와 그 해결책 ............... |
김윤학 |
국어의 지역 방언 |
전남 방언의 특징과 그 연구 ............................................................ |
李敦柱 |
全北方言의 硏究와 特徵에 대하여 ...................................................... |
李丞宰 |
국어 문법의 이해(7) |
시킴(사동)법과 입음(피동)법 ............................................................ |
김석득 |
잘못 쓰이는 우리말과 글 |
토박이말을 한자어로 잘못 아는 말 ................................................... |
이강로 |
방언 속에 묻힌 좋은 우리말 |
살려 쓰고 싶은 내 고장 사투리 ......................................................... |
金英培 |
서 평 |
당신의 우리말 실력은? (이기문 편저) ................................................ |
남기심 |
國語學硏究(李乙煥 著) ..................................................................... |
李喆洙 |
해외 어문 소식 |
벨기에에서 사용되는 언어상태 ......................................................... |
백 마리죠 |
우리말의 향기 |
박용래의 '저녁눈' ........................................................................... |
이은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