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전 편찬 방향 및 현황 |
종합국어대사전 편찬 사업 ............................................................... |
강인선 |
종합국어대사전의 표제어 ............................................................... |
윤용선 |
북한 말의 수록에 대하여 .................................................................. |
김세중 |
종합국어대사전의 집필 지침 Ⅰ ......................................................... |
양명희 |
종합국어대사전의 집필 지침 Ⅱ ......................................................... |
정호성 |
표제어 선정의 제 문제 ........................................................................ |
정희원 |
원고 집필의 실제 .............................................................................. |
권인한 |
원고 교열의 실제 .............................................................................. |
임동훈 |
전산 자료 및 체제의 구축 활용 ......................................................... |
조남호 |
종합국어대사전에 바란다 |
새로운 국어 사전 기획, 너무나 중요하다 .......................................... |
홍재성 |
언어 정보 공유의 계기가 되기를 ...................................................... |
이기용 |
통일 시대의 민족문화 창달의 길잡이가 되길 .................................... |
안삼환 |
규범성과 충실성의 문제 .................................................................. |
임홍빈 |
문명국의 사전다운 사전을 ............................................................ |
최원식 |
사전 편찬 경험 |
사전은 영원한 미완성품 .................................................................. |
신기철 |
국어 사전에 대한 斷想 .................................................................. |
안상순 |
애환 어린 유물 .............................................................................. |
김태주 |
사전편찬실 이야기 |
사전의 방향 잡기 ........................................................................... |
이승재 |
硏究院과 더불어 .............................................................................. |
이영경 |
교열을 하면서 ................................................................................. |
신승용 |
힘들었던 카드 작업 ........................................................................ |
이윤경 |
편찬실에서 .................................................................................... |
정혜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