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발표년 | 2020 |
---|---|
게재지 | 언어와 정보 사회 41 |
원문파일 |
종류 : 논문
게재지 : [언어와 정보 사회] 제41호
수록면 : 25-60
발행처 : 서강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간행일 : 2020. 11. 30.
[국문 초록]
‘하다’는 국어에서 사용 빈도가 매우 높은 어사이다. 그런 만큼 국어 화자나 연구자에게는 ‘하다’의 의미와 용법 파악이 무엇보다도 중요한 과제이다. 그러므로 일찍부터 수많은 학자들이 ‘하다’를 연구 대상으로 삼아 논의를 해왔지만, 아직까지도 ‘하다’의 의미와 용법은 명확하게 구명되었다고 말하기 어려운 상태이다.
이 글에서는 ‘하다’의 의미와 용법에 대해 기존의 학설들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결론을 제시한다. 이 글에서 새로 제시하고자 하는 새로운 결론은 크게 두 가지인데, 하나는 ‘하다’가 ‘만들어 쓰다’ 정도로 기술할 수 있는 고유의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대부분의 용례가 그런 의미로 쓰이고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다른 하나는 ‘하다’가 인조물을 지칭하는 어사 뒤에 주로 사용된다는 점이다. 물론, ‘하다’ 앞의 어사가 인조물이라는 점과 ‘하다’의 고유 의미가 ‘만들어 쓰다’인 점 등은 모두 국어 용례 분석을 통해서 얻은 결론이며, 두 가지 결론은 서로 밀접한 관련이 있다. 마지막으로 이 글에서는 지면의 부족으로 ‘하다’와 관련한 모든 과제와 용례를 다 다루지 못한다는 점도 분명히 밝혀둔다.
주제어 : 하다, 만들다, 쓰다, 천연물, 인조물, 착시현상, 국어 용례, 직관
[Abstract]
Kang, Chang Seok (2020), “The Meaning and Usage of the Verb Hata 1,” Language and Information Society 41. The verb hata has a high frequency of use. For this reason, numerous scholars have paid attention to this verb, but unfortunately its basic meaning and usage have not yet been clarified or agreed upon. This paper proposes a new interpretation, which differs significantly from traditional views. First, hata is defined semantically as having the inherent meaning of ‘to make and use.’ Most of its usage can be explained as an instantiation of the basic inherent meaning. Moreover, it has been argued through the data analysis that hata is used mostly with other nominal words that would be most adequately characterized as denoting an artificial thing. Of course, the facts that the word in front of hata means an artificial thing and that the original meaning of hata is ‘to make and use’ are both conclusions obtained through the analysis of usage in Korean, and the two conclusions a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Key words: hata, to make, to use, natural thing, artificial thing, optical/Zöllner illusion, intuition, metalanguage
공지 | 관리자(姜昶錫) 프로필(profile) 소개 | 2012.02.26 |
-
No Image
'하다'의 의미와 용법1
게재지언어와 정보 사회 41발표년2020종류 : 논문 게재지 : [언어와 정보 사회] 제41호 수록면 : 25-60 발행처 : 서강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간행일 : 2020. 11. 30. [국문 초록] ‘하다’는 국어에서 사용 빈도가 매우 높은 어사이다. 그런 만큼 국어 화자나 연구자에게는 ‘하다’의 의미와 용법 파악이 무엇보다도 중요한 과제이다. 그...Date2020.12.08 Views510 -
No Image
국어 경어법의 본질과 체계
게재지언어와 정보 사회발표년2020종류 : 논문 게재지 : [언어와 정보 사회] 제39호 수록면 : 51-86 발행처 : 언어정보연구소 간행일 : 2020. 03. * 국문 초록 敬語法은 국어의 대표적인 문법현상이며, 일찍부터 수많은 학자들이 경어법을 연구해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경어법의 본질과 체계는 아직까지 명확하게 구명되었다고 보기 어렵...Date2020.11.12 Views623 -
No Image
국어의 생략현상에 대하여 1
게재지언어와 정보사회 36발표년2019종류 : 논문 게재지 : 언어와 정보 사회 제36호 수록면 : 5-36 발행처 : 언어정보연구소 간행일 : 2019. 03. * 영문 초록 Kang, Chang Seok(2019), “Ellipsis in Korean Ⅰ,” Language & information 36. It is necessary to analyse normal Korean sentences for constructing a Korean se...Date2019.04.19 Views3236 -
No Image
조사 '에게'의 용법과 기능
게재지한글 제318호발표년2017종류 : 논문 게재지 : 한글 제318호 수록면 : 47-84 발행처 : 한글학회 간행일 : 2017. 12. * 국문 초록 국어의 조사는 오래 전부터 수많은 학자들에 의해 연구되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사의 용법과 기능을 둘러싼 논란은 아직도 끊이질 않는다. 이 글은 그동안의 조사 연구에서 드...Date2018.03.03 Views4765 -
지시어 '이, 그, 저'의 용법과 의미
게재지언어 41권 2호발표년2016종류 : 논문 게재지 : 언어 41권 2호 수록면 : 201-216 발행처 : 한국언어학회 간행일 : 2016. 6. 30. * 주요 내용 : * Abstract The Usage of Korean Demonstratives ‘i, geu, jeo’. Korean Journal of Linguistics, 41-2. The demonstratives in Korean (‘i, geu, j...Date2016.10.05 Views10433 -
국어의 특징과 국어 연구 방법론
게재지관악어문연구 제40집발표년2015종류 : 논문 게재지 : 관악어문연구 제40집. 수록면 :43-63. 발행처 :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간행일 : 2015. 12. 31. [ 주요 내용 ]Date2016.10.05 Views7162 -
「諺文字母」의 작성 주체와 시기에 대하여
게재지언어와 정보 사회 제22호발표년2014. 7종류 : 논문 게재지 : 언어와 정보 사회 제22호. 수록면 : 27-52. 발행처 : 서강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간행일 : 2014. 7. 30. <국문 초록> 「諺文字母」는 최세진이 편찬한 『훈몽자회』에 수록되어 있다. 그러나 「諺文字母」를 최세진이 직접 짓지는 않은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Date2014.07.30 Views9326 -
국어(문법)의 특징과 연구방법론
게재지국어연구회(발표 원고)발표년2014. 7제14회 국어연구회(2014년 7월 9일, 서울대학교)에서 발표한 원고입니다. 기존에 발표했던 논문에서 이미 언급한 내용들이 많이 들어있지만, 처음 다루어본 새로운 내용도 약간 포함되어있고, 무엇보다도 평소 생각만 해오던 '한-영' 번역이라는 연구 방법론을 구체적으로 적용해본 첫 시도(필자에게)라서...Date2014.07.10 Views9956 -
국어 문장의 구조와 특징
게재지개신어문연구 37발표년2013. 6종류 : 논문 게재지 : 개신어문연구 37 수록면 : 5-39 발행처 : 개신어문학회. 주요 내용 : (결론 부분 일부 발췌) 지금까지 논의한 내용을 일단 요약하여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16) 국어 문장의 구조와 특성 ㄱ. 국어 문장은 필수성분이 존재하지 않는다. ㄴ. 국어 문장은 문맥을...Date2013.08.19 Views16573 -
훈민정음 頒布와 관련한 몇 가지 문제
게재지개신어문연구 제35집발표년2012. 6종류 : 논문 제목(국문) : 훈민정음 頒布와 관련한 몇 가지 문제 제목(영문) : Several Issues on the Promulgation of Hunminjeongeum 게재지명 : 개신어문연구 Vol.35 발행처 : 개신어문학회 수록면 : 5-30(26쪽) 발행년도 : 2012년 주제어 : promulgation ,compilation ,publica...Date2012.09.04 Views125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