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청성곡(淸聲曲, 청성자진한잎)
우리나라의 전통 성악곡인 가곡을 기악곡화한 변주곡으로 청성곡(淸聲曲) 또는 요천순일지곡(堯天舜日之曲)이라고도 한다.
'청성'이란 '높은 음'이란 뜻이고, '자진'은 빠르다라는 뜻이며, '한'은 크다는 뜻이고, '잎'은 곡조라는 뜻이다. 따라서 청성 자진한잎이란 '빠르고 큰 곡조를 높은 음으로 연주하는 곡'을 일컫는다.
우리나라 전통 가곡의 원형인 만대엽(慢大葉), 중대엽(中大葉), 삭대엽(數大葉) 중 삭대엽을 우리말로 풀어서 쓴 것으로, 우리나라 가곡의 모체이다. 원래는 궁중의 연례 음악으로 사용하였지만 지금은 단소(短簫)나 대금(大笒)으로 연주하는 독주곡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독주는 한 개의 악기를 연주하는 것으로 장구 반주를 하는 경우가 많으며 병주는 두 개의 악기를 두 사람이 연주하는 것으로 금과 슬, 훈과 지, 생황과 단소, 양금과 단소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단소로 독주하는 <청성곡>은 단소 특유의 영롱한 잔가락이 신비로움을 자아낸다. 단소의 소박하고 영롱함과 아기자기한 표현을 느낄 수 있는 반면, 대금의 청성곡은 힘이 있고, 선이 굵으며, 청의 울림이 있어 화려함을 느낄 수 있다.
----------------
* 단소 : 단소는 퉁소보다 작고 지공이 뒤에 1개, 앞에 4개 있다. 단소는 양금(洋琴)과 함께 「악학궤범」에 언급하지 않은 점으로 보아 조선 후기에 생긴 것으로 추측되며 <영산회상(靈山會相)>과 <자진한잎> 같은 관현합주에 사용되고 생소병주나 양금, 해금, 3중주 또는 독주에 사용된다.
* 자진한잎 : 원래는 가곡(歌曲…萬年長歡之曲)에서 다섯째 곡인 두거(頭擧)노래의 반주음악을 현악 없이 "사관풍류"로 연주할 때 이를 '자진한잎'이라고 일컬었다.
* 단소로 연주하는 청성곡(이두원)
* 대금으로 연주하는 청성곡(박용호)
공지 | [한국의 음악] 게시판 이용 안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