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학 분야 추천 논문 디지털 파일로 제작되어 공개된 국어학 논문 가운데 학생들에게 추천하고 싶은 논문들을 등록하는 곳입니다. 이곳에 소개된 논문 파일은 각 대학 도서관이나 학술지 홈페이지를 통해서 받을 수 있습니다.
번호 | 주제 | 필자 | 발표 | 제목 | 게재지 |
---|---|---|---|---|---|
공지 | 강창석 |
졸고(拙稿) 목록과 원문
![]() |
|||
120 | 창제경위 | 권재선 | 1998 | 한글 반포에 대한 고찰 | 어문학 64 |
119 | 창제경위 | 이숭녕 | 1958 | 세종의 언어정책에 관한 연구 | 아세아연구 1.2 |
118 | 대명사 | 이기문 | 1978 | 국어의 인칭대명사 | 관악어문연구 3집 |
117 | 제자원리 | 홍윤표 | 2005 | 訓民正音의 ‘象形而字倣古篆’에 대하여 | 국어학 제46집 |
116 | 창제경위 | 최기호 | 1983 | 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연구 -집현전관과 언문반대상소 | 동방학지 36-37 |
115 | 자모순서 | 전광현 | 1989 | 국어 字母의 배열 순서에 대하여 | 국어생활 18 |
114 | 문헌/서지 | 이현희 | 1997 | 훈민정음 | 국어생활 제7권4호 |
113 | 연구사 | 와타나베 | 2002 | 훈민정음 연구사 - 일본인학자들의 연구를 중심으로 | 연세대 석사논문 |
112 | 문자사 | 이기문 | 1982 |
東아세아 문자사의 흐름
![]() |
동아연구 제1집 |
111 | 창제시기 | 박대종 | 2009 |
[훈민정음] 例義와 해례본 완성일
![]() ![]() |
한글+漢字문화 125 |
110 | 창제경위 | 이동림 | 1974 | 훈민정음 창제경위에 대하여 -俗所謂 反切 27자와 상관해서 | 국어국문학 64 |
109 | 문자체계 | 신창순 | 1975 | 훈민정음에 대하여 - 그 문자론적 고찰 | 국어국문학 12 |
108 | 반포시기 | 여증동 | 1990 |
[훈민정음]을 반포한 일이 없었다
![]() |
어문연구 제20집 |
107 | 창제경위 | 정광 | 2006 | 새로운 자료와 시각으로 본 훈민정음의 창제와 반포 | 언어정보 7 |
106 | 창제경위 | 이성연 | 1984 | 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몇 가지 문제 | 한글 제185호 |
105 | 창제경위 | 이성연 | 1994 | 훈민정음 창제 과정에 대한 연구 | 한국언어문학 제32집 |
104 | 관련기록 | 성원경 | 1985 |
肅宗어제 훈민정음(후)서 내용 고찰
![]() ![]() |
건국어문학 제9-10합집 |
103 | 창제배경 | 이기문 | 1980 | 훈민정음 창제의 기반 | 동양학 10 |
102 | 창제경위 | 이기문 | 1974 |
훈민정음 창제에 관련된 몇 문제
![]() |
국어학 |
101 | 중세국어 | 이기문 | 1972 | 石峯千字文에 대하여 | 국어국문학 55-57합 |